포 소화 설비 작동 방법

��ü�� ����

Ư��

������ Ư¡

�ܹ���(Protein Foam)

�ּ���

�������������� �ܹ���+���������� (���Ȱ����,������)

������ �ܹ��� �������ع��� ��ȭ����ö��(FeCl2)�� �������� ÷���� ���� �����Ͽ� ��������� ������ ��ȭ�����̸� ����������δ� Ethylene Glycol, ��ȭ��Ʈ��, �����ʷ��۸��� ���̸�, �۸������� �������� 19�� �̹Ƿ� �������ϴ�. �� �ܹ����� ��ȭ�Ͽ� ������ ����� �ְ� ħ���� �Ǵ� ������ �־� ���� �������� �ܿ£ ���� �ʰ� �ϱ� ���ؼ� -5��~30�ɷ� �����Ͽ��� �ϴµ� �dz��� �����ϰų� ���ܿ� ����ÿ��� ������ġ�� �ʿ��ϴ�.
Ư��, �ܹ����� ��4�� ���蹰�� ����������ũ�� ������ ��ġ�ϴ� ���������ⱸ������ ���ȴ�. ��â��� 6���̻��̴�.

��ȭƯ��

- ��ȭ�������� �۴�.
- ��ȭ�ӵ�����
- �������� ����.
- �翬����ȿ�����

����

3%-(��97%+����3%)
6%-(��94%+����6%)

��ȣ���

������ȭ�� �� ����ȭ�а���

��ȭ�ܹ���(Fluoro Protein Foam)

�ּ���

�ܹ���+�ҼҰ��Ȱ����(�̷�)

�ܹ����� �ҼҰ� ���Ȱ������ ȥ���Ͽ� ������ �����μ� �Ҽ��� ��ȭȿ���� ����ȭ������ ����ϳ� ������ ��� �� ������� �ʴ´�.

��ȭƯ��

- ���������� �ܹ����� ������ ���������� �����Ŵ
- ǥ�������Թ�Ŀ� ����

����

3%
6%

��ȣ���

������ȭ�� �� ����ȭ�а���

�ռ����Ȱ������(Synthetic Foam)

�ּ���

���Ȱ����+����������

Ȳ�꿡���׸��� Ȳ�꿰�� ����Ͽ� ���� �������� ���� ÷���� ��ȭ������ �� ������ ���� ������ ���� ����� �󵵸� ���Ͻ�Ű�� ���� ��ȭȿ���μ� ����, ������, ������, ��������, ������ũ ���� ���񿡴� �����ϳ� ��5�� ���蹰�� ������̵�� ���� ��Ҹ� �����ϴ� ȭ�չ�, ��3�� ���蹰�� �ݼ�Į���� �ݼӳ�Ʈ��,���⼳���� �������ϴ�.

��â��� ������-6���̻�, ������-8���̻��̴�.

��ȭƯ��

- ���������� ����.
- �������� ���ϴ�.
- ���� ���� �Ҹ�Ǵ� ������ �ִ�.
- ��â������ �о� ��ü,��üȭ�翡 �����ϴ�.

����

��������- (1%, 1.5%, 2%)
��������- (3%   6%)

��ȣ���

����ȭ��, ���蹰�����, ����, ������, ����ȭ�а���

��������(Aqueous Film Forming Foam)

�ּ���

�ҼҰ������+����������

�̱��� 3M�簡 ������ ������ �ϸ� Light Water�̶�� �Ѵ�. �� ������ �ҼҰ����� �������� �ռ����Ȱ������ ÷���Ǿ� �ִ� �����μ� ���� ȥ���Ͽ� ����Ѵ�. ���������� �������� ǥ���� ���� ���Ǽ�ȭ�ϸ�, ������ �ܹ��� ��ȭ������ ���� �� 3���� ȿ���� ������ �ʿ��� ��ȭ������ ���� 1/3 ������ �Ұ��ϴ�.
�� ������ ���� �Ǵ� ����� ������ �ܹ������� �������� ���� ������ ���� �氥�� �����̴�. ��â��� 5���̻��̴�.

��ȭƯ��

- ����ȭ������ ��ȭ���� ������
- ȭ�������� �����Ͽ� �������� ����.
- ����ȭ�� �� 1000�� �̻� ǥ�鸷 ���� ��ȭ���

����

6%

��ȣ���

������ȭ��, ����ȭ�а���, �����ݳ���, ������������ ������

���ڿ���(Alcohol Residant Foam)

�ּ���

õ���ܹ������ع�(�ռ����Ȱ����)+����������(����꺹��)

�ܹ����� �������ع��� �ռ������� ȥ���Ͽ� ������ ��ȭ�����μ� ����, �����׸����� ���� ���뼺�� ������ �ܹ�����ȭ������ ����ϸ� ���� ���İ��� �ı��ǰ� ���Ӽ� �� ��ȭ����� �������� ���Ͽ� ���������� ����Ѵ�.  ��â��� 6���̻��̴�.

��ȭƯ��

- ���뼺 ���蹰 ��ȭ�� �����ϴ�.

����

6%

��ȣ���

�������� ���뼺��ü(����, ����, �����׸���)

1. 개요

포소화설비는 물만으로는 소화가 불가능하거나 소화효과가 적거나 또는 오히려 화재를 확대시킬 우려가 있는 인화성액체 물질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하기 위한 소화설비이다.

포소화설비의 구성요소는 수조, 가압송수장치(소화펌프),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약제저장탱크, 포소화약제 혼합장치, 배관 및 관부속품, 유수검지장치, 일제(자동)개방밸브, 고정보방출장치, 포방출구

(1) 소화원리

냉각작용 : 포는 수용액 상태이므로 방호대상물에 방출되면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기화하면서 연소면의 열을 탈취하는 냉각소화작용을 한다.

질식작용 : 포를 방호대상물에 방출하면 연소면을 뒤덮어 산소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질식소화작용을 한다.

(2) 화재감지방법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한 것은 천장면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헤드가 화열로 감열부가 용해, 파괴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이 때 배관 내의 수압변동에 의해 자동밸브가 개방되고 가압송수장치가 자동적으로 기동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포를 방출하는 방식이다.

감지기를 사용한 것은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해서 신호를 보냄으로써 일제개방밸브에 설치된 전자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일제개방밸브가 개방되어 포헤드의 배관에 포수용액이 흐르게 된다. 이후의 작동은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한 경우와 같다.

2. 포소화설비의 종류

(1) 방출방식에 따른 분류

전역방출방식 : 고정식 포 발생장치로 구성되어 포 수용액이 방호대상물 주위가 막혀진 공간이나 밀폐 공간 속으로 방출되도록 된 설비방식을 말한다.

국소방출방식 : 고정된 포 발생장치로 구성되어 화점이나 연소유출물 위에 직접 포를 방출하도록 설치된 설비방식을 말한다.

호스릴방식(이동식) : 전역방출방식이나 국소방출방식처럼 사전에 고정배관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옥내소화전과 같이 화재시 사람이 직접 조작하여 호스로 소화하는 방식이다.

(2) 기동방식에 의한 분류(자동기동방식 / 수동기동방식)

(3) 팽창비에 의한 분류

포수용액이 발포 후 몇배의 거품으로 팽창했는지를 팽창비()라 하고, 팽창비의 대소에 따라 저발포와 고발포로 나눈다.

팽창비 = 포방출구에 의하여 방사되어 최종 발생한 포의 체적(L) / 원래 포수용액(L)

(4) 포방출구에 따른 분류

고정포 방출구 : 주로 위험물저장탱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탱크의 지름 및 포방출구의 종별에 따라 일정한 수의 방출구를 탱크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다.

. 형 방출구 : 방출된 포가 위험물과 섞이지 아니하고 탱크 속으로 흘러들어가 소화작용을 하도록 통, 계단 등의 설비가 된 방출구로서 위험물 표면에 요동을 주지 않아 위험물이 오버플로우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형 방출구 : 방출된 포가 반사판에 의하여 탱크의 벽면을 따라 흘러들어가 소화작용을 하도록 된 포방출구를 말한다.

. 특형 방출구 : 플루팅루프 탱크의 측면과 굽도리판에 의하여 형성된 환상부분에 포를 방출하여 소화작용을 하도록 된 포방출구를 말한다.

. 형 방출구[표면하 주입 방출구(Subsurface Injection)] : 고정 지붕구조의 탱크에 저부포주입법(탱크의 액면 하에 설치된 포방출구로부터 포를 탱크 내에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송포관으로부터 포를 방출하는 포방출구를 말한다.

. 형 방출구[반표면하 주입 방출구(Semi-Subsurface Injection)] : 고정 지붕구조의 탱크에 저부포주입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탱크의 액면 하의 저부에 설치된 격납통에 수납되어 있는 특수호스 등이 송포관의 말단에 접속되어 있다가 포를 보내는 것에 의하여 특수호스 등이 전개되어 그 선단이 액면까지 도달한 후 포를 방출하는 포방출구를 말한다.

고정포 방출구의 적용

탱크의 종류에 따른 포방출구

 • 콘푸프탱크 - 형 방출구, 형 방출구, 형 방출구, 형 방출구

 • 플루팅루프탱크특형 방출구

3. 배관

포소화설비의 송수구 설치에 관하여서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송수구의 규정을 준용한다.

4. 포소화약제의 혼합장치

포소화약제 혼합장치는 물과 포원액을 혼합하여 규정 농도의 포수용액을 만드는 장치이다.

(1) 펌프푸로포셔너방식(Pump proportioner, 펌프혼합방식)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 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조정밸브에서 조정된 포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포소화약재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이를 혼합하는 방식

(2) 프레져푸로포셔너방식(Pressure proportioner, 차압혼합방식)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포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자체압력)에 의하여 포소화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방식

원액탱크 내부에 소화수 원액 격막(bladder)을 설치

(3) 라인푸로포셔너방식(Line proportioner, 관로혼합방식)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에 의하여 포소화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방식

(4) 프레져사이드푸로포셔너방식(Pressure side proportioner, 압입혼합방식)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소화약제 압입용펌프로 포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

5. 개방밸브

자동개방밸브는 화재감지장치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할 것

수동개뱅밸브는 화재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할 것

6. 기동장치

(1) 수동식 기동장치

직접조작 또는 원격조작에 의하여 가압송수장치 수동식 개방밸브 및 소화약제 혼합장치를 기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2 이상의 방사구역을 가진 포소화설비에는 방사구역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화재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하되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유효한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차고 또는 주차장에 설치하는 포소화설비의 수동식 기동장치는 방사구역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항공기 격납고에 설치하는 포소화설비의 수동식 기동장치는 방사구역마다 2개 이상을 설치하되, 그 중 1개는 방사구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 또는 조작에 편리한 곳에 설치하고 1개는 화재감지 수신기를 설치한 감시실 등에 설치할 것

7. 포헤드 및 고정포방출구

설치장소 차고 및 주차장, 항공기 격납고, 특수가연물을 저장 취급하는 소방대상물

(1) 포헤드 설치기준

(2) 차고, 주차장에 설치하는 호스릴포설비 또는 포소화전설비 설치기준

(3) 고발포용 방출구 설치기준

전역방출방식

. 고정포방출구는 바닥면적 500m²마다 1개 이상으로 하여 방호대상물의 화재를 유효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할 것

고발포용 고정포방출구의 팽창비()80 이상 1000 미만(설치장소별 기준에 상관없이)

국소방출방식의 고발포용 고정포 방출구

. 방호대상물이 서로 인접하여 불이 쉽게 붙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불이 옮겨 붙을 우려가 있는 범위 내의 방호대상물을 하나의 방호대상물로 하여 설치할 것

. 고정포방출구(포발생기가 분리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는 당해 포발생기를 포함한다)는 방호대상물의 구분에 당해 방호대상물 높이의 3(1m 미만인 경우에는 1m) 거리를 수평으로 연장한 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이 1m²에 대하여 1분당 방출량이 표의 양 이상이 되도록 할 것

표 방호대상물의 방출량(L/minm²)

방호대상물

방호면적 1m²에 대한 1분당 방출량

특수가연물

3L

기타의 것

2L

8. 수원 및 가압송수장치의 펌프 등의 겸용

펌프성능시험배관

. 가압송수장치에는 정격부하운전시 펌프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배관을 설치한다. 다만, 충압펌프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를 초과하지 아니하고정격토출량의 150%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이상이 되어야 한다.

.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한다.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에 개폐밸브를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한다.

. 유량측정장치는 성능시험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175%까지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