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비료를 줄때 어느 성분을 기준으로

���� �Ǿ����� �մϴ�.
�������պ��� �ú���

1. �긲�� �������պ���� ����

�۳� ������ �츮�� ó������ �������� �ú��۾��� �ϸ鼭 �����̳� �Ϻ��� ���� �긲���� �������� �ú��� �� �ִ� ����� ������ �����ϰ� �Ǿ��� 76�� 6�� ���� ���ο����� ��ü���� ��������� ���� 77�� ��⿡ ��μ� ������ �����ϰ� �� ���̴�.
�ݳ� 6���� �����в��� ó������ �������� �ú��� ��ᰡ �� �긲�� �������պ�� �̶� �� ��δ� ���ȭ�а����ֽ�ȸ��� dz���� �����ֽ�ȸ�翡�� ���ο� �������ϰ� �ְ� �簳ȸ���� 1�� ����ɷµ� ��600�������� ����ü��� �Ϻ�Ǿ� �ִ�.

2. �긲�� �������պ���� Ư��

�� ���� �Ϲ� ��������� �����ִ� ���, �߰���, ��ȭ���� �� �ܺ� ���������� ȥ���Ͽ� ����ȭ ��Ų ������ �긲�ú� �˸°� �Ϲݺ�ῡ ���Ͽ� ������ ���� Ư¡�� �������ִ�.

��. ������ �ڶ�µ� �ʿ��� ����� 3��Ұ� ����� ����ִ�.
�� �Ӹ��� �ڶ�µ� �ʿ��� ����, �λ�, ���������� �����ְ� ���յǾ� �Ѹ�, �ٱ�, ������ �ߴ��� ������Ű�� ������� ����� ���޽�ų �� �ִٴ� ���̴�.

��. �Ϲݺ�Ẹ�� õõ�� ��� ������ ��Ἲ���� ������ ���� ����� ȿ���� �������� ���ӵȴ�.
�� ����� 3��Ҹ� ����� ��� ������ ����(������)������� ����ȭ���ױ� ������ �Ϲݺ�ῡ ���Ͽ� õõ�� ��� ����� ȿ���� �������� ��ȿ������̸� ��ݰ��������� �ú��۾� �������� ���ǵǴ� ���� ���� �������� ����� ���̴�.

��. ��ᷮ�� ��Ȯ�ϰ� �� �� �ְ� ����ִ� �ϼ��� �����ش�.
�� ��� �Ѱ��� �߷��� 15gr�̹Ƿ� ������ ������ ���� �־�� �� ��ᷮ�� ��Ȯ�ϰ� ���߾� �� �� ������(�����ú�) �Ϲݺ�Ḧ �� �� ���� ����� ���ձ���� �ʿ�ġ �ʰ� �ú��۾��� �����ϰ� �� �� �ִ� ������ ���ϰ� �ִ�.
��. ���� ���� �ú��ص� ����� �ذ� ������ ����, �������� ���ϴ�.

3. ����� ����

��. ����� ������ ���� ������ �������̸�
��. ����� ���к�� ����12%, �λ�16%, ����4% �� 32%�� ��Ἲ�а� �Ҽ� �� ħ������ �̷���ִ�.
��. ���� �߷��� 15gr�����̸�
��. ����� �߷��� 20�� ������ �����ϰ� ����ǰ� �ִ�.
��. �����뿡�� ������ 15gr ¥�� ��ᰡ �� 1,330������ ��� ������

4. ������ �ú���ط�

�ú���ط��� �� ��ᰡ �ݳ⵵���� ó������ ������� �ǰ� �ִ� ����� ��Ȯ�� �������� Ȯ���� ���� ���� ������ �Ϲݺ�� �ú���ط��� ȯ���Ͽ� ������ ���� �������� ������ ���ط��� ���ϰ��ִ�.

��. ��� ���ط�
������ ������ �������պ�Ḧ �ú�.

��. �ߺ� ���ط�
���� �� 2��5����� ������� �ú��ϴ� �����μ� �ݳ⵵ 6���߿� 1���� �� �������պ�Ḧ �ú��ѹ������� �߰��� �̴�(11��)�߿� 2���� �ú��ϰ� �ִ� ���ط��� ������ ����.(����ǥ ����)
�� ���Ḳ�� ���� �ݳ� 6���߿��� ���� 1�� �������� �ú��Ͽ����� �̴޿� �ְ��ִ� �ú��� ����2���� �߷��Ͽ� �ú��ϰ� �Ǿ���.

5. �ú���

��. �ú�ñ�
�ú�� ����ö �帶��� �ܿ�ö ��� ����⸦ ���ϰ� ���� �ú� �����ϴ�.
�� ��ö �ļ��ñ⿡�� ���� ���Ҿ� ������ �ɰ� �������� ���� �ߺ�� 5��6��, 10��11 ���߿� �ǽ��ϴ� ���� ����.

��. �ú���
������ ��Ḧ �ִ� ����� ����, ���Ḳ�� ���� �ú��ϴ� ������ ���� ������ ���� ���� ������ �İ� ��Ḧ �����ִ� �����ú������ �ϰ�, ���Ǽ��� �Ӽ���ó�� �ú��� ���� ������ ���������� �����̸� �İ� ��Ḧ ���� ȯ��ú������ �ú��ϴ� ���� ����.

��. �۾����
�ú��۾��� ���� �߿��� ����� ù° ��ᰡ ����Ѹ��� ���� �ʵ��� �ϴ� �Ͱ�, ��Ḧ ���� 5�������� ���̷� ���� ���̴�.
���� ����� ����۾��� ������ ������ ���� ���� ���� ���� ����5������ ���̱��� ä�� ������ ��Ḧ �ְ� ��ǥ����� ������ ���� ������ �� ���̸� �ߺ��� ��쿡�� �ú��� ���� ������ ���� ������ ���� ������� �ú��Ѵ�.
(1) �㳪��, ��������, ���¸����÷�, ��������ó����� ���� �ú�(����)�� ���� ������ �ú������ ���� �� ����(����)������ �����Ǵ� ��ǥ������ �ձ׷��� ����5�������� �ú������ �İ� ��Ḧ ������ �������� ���� ���� ���� ������ �ϰ� ���������� ���� ������ ���� ������ �ú������ �߽����� �ݰ� 1���� �ձ� ������ �İ� ���� 5������ ���̿� ��Ḧ ������ �Ѵ�.
(2) �㳪��, ������, �ﳪ��, ����� ������ �����. ��������, �Ʊ�� �� ���Ḳ�� ���� �ú��� ���� ������ �ú���� ���ʿ� ������ ���� �� ���� ���� ��ŭ �������� ���� 5�������� �ú񱸸��� �İ� ��� 1������ ������ �Ѵ�.
���� ��� 1���� �ú��� ��쿡�� ������ �ɾ��� ��ǥ���� ���κп� ���� ������� ������ �Ѵ�.

6. �ú��� ȿ��

�ú� �����μ� ������� ȿ���� ���������� �ְ����� �߿��� ����� �����ϸ�
ù°, ������� ������ ������Ŵ���μ� ���� ���ʸ� ������ �ִ� Ǯ���� �޼��� �����ų �� �ְ�
��°, �����۾��� ���� �����Ͽ� �߰� ������ �ø� �� ������
��°, ���������� ������귮�� ������Ű��
��°, ��ä �̿�Ⱓ�� �մ�� �� ������ ���� ���� ��������� ������ �� �ִ� ȿ���� �ִ�.
Ư�� �Ӹ���� ���� �ú�������� ������ ���� ǥ�� ���� ������ ���� 2��3��, �Ӽ����� 4��5��, ��������� �־�� ���� 40���� �ܸ����� ����ȿ���� �ִ� ������ ��Ÿ���� ���Ǽ��� ��쿡�� ���Ⳬ���� �����Ͽ� ��Ȯ���� �����Ű�� ȿ���� �ִ� ������ ��Ÿ����.

일반벼 - 기계이앙재배(시비)

 
1. 벼 생육과 양분
벼를 구성하고 생육에 필요한 무기성분으로 질소, 인산, 칼륨과 소량의 규산, 칼슘 그리고 철, 망간 등이 미량 필요하다. 이 중에 벼 생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양분은 질소, 인산, 칼륨과 규산이며 벼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은 어느 것 하나라도 결핍되거나, 과잉이 되면 특징적인 생리적 증상을 나타내고, 식물체의 생육이 나빠진다. 그러므로 벼가 필요로 하는 양분이 균형을 이루어 건전한 생육을 할 수 있도록 영양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가. 질소
질소는 세포 원형질의 기본물질인 단백질이나 세포핵의 주성분인 핵산의 주요한 구성원으로서 식물세포의 분열, 증식에 기여하며 뿌리의 발육, 잎과 줄기의 생육, 양분의 흡수 및 동화작용에 필요하다. 질소성분이 과다하면 잎 면적이 지나치게 크게 되어 수광태세가 불량해지고 광합성이 저하되며, 호흡량이 증가하여 건물생산량이 저하되고 병해충의 발생을 많게 하는 요인이 된다. 질소를 공급할 수 있는 질소질 비료는 요소, 유안 등이 있다. ·요소 : 요소는 생리적 중성비료로서 요소태 질소가 주성분이며 질소함량이 46%로 질소함량이 가장 높은 비료이다. 거름주는 방법은 밑거름으로 줄 때는 전층시비 하는데, 논갈이 직전 또는 써레질 전에 비료를 골고루 살포하고 써레질하여 흙과 잘 섞이도록 한다. 요소비료의 질소는 요소태이므로 암모니아태로 변하여 이용되므로, 황산암모늄보다 지효성이며 물에 녹여 엽면시비를 할 수도 있다. 요소는 암모니아 이온에 의한 pH 상승으로 암모니아가스(NH3) 발생량이 유안에 비하여 많아 비닐터널과 같이 밀폐된 상태에서 시용하면 가스발생에 의한 피해가 발생한다. ·유안 : 유안은 질소를 21% 함유하고 있으며, 부성분으로 필수 다량원소인 유황을 함유하고 있는 비료이다. 생리적 산성비료로 매년 다량 시용하면 토양의 산성화와 석회, 철분의 유실이 일어날 수 있으나, 매년 반복해서 주는 경우가 아니면 유안은 속효성으로 요소보다 거름효과가 좋거나 비슷하다. 거름주는 방법은 밑거름이나 웃거름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논에서 밑거름으로 줄 때는 전층시비하고, 습논의 경우는 써레질 바로 전에 주는 것이 좋으며, 유황성분이 부족한 논에 알맞다.  

나. 인산
인산은 벼의 생장 및 비대에 관여하고, 기관이 노화되면 많은 양은 다음으로 생장하는 기관으로 전류된다. 출수 후에는 각 기관에서 이삭으로 인산의 전류가 활발히 이루어져 이삭에 축적된다. 인산은 토양에 잘 흡수 고정되고 인산이 많으면 음이온 양분인 붕소나 규산의 흡수가 저해되고, 부족하면 잎이 좁아지고 짙은 녹색이 되며, 키가 크지 않고, 새끼치기가 되지 않아 수수 확보가 어려우며 출수와 성숙이 늦어지고, 호흡이나 광합성이 저해된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M·용성인비 : 용성인비의 인산함량은 20%이며, 고토 12∼16%, 가용성 규산이 있고 알칼리성이며 미량요소인 철, 망간, 몰리브텐, 아연, 코발트 등을 미량 함유한 비료로서 작물에 유효한 성분이 다랑 함유된 종합무기성 비료이다. 용성인비는 거름주기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 없는 비료로 주는 시기는 이앙 한 달 전이나 이앙 바로 전에 시용이 가능하며 밑거름으로 시용한다. ·용과린 : 용과린은 약산성 비료로서 과석과 용성인비를 혼합 제조하여 수용성 인산과 구용성 인산이 함께 들어 있고, 인산성분은 20%이며, 고토, 석회, 유황 및 규산 그리고 약간의 미량요소를 함유하고 있는 종합무기성 비료이다. 용성인비와 마찬가지로 논에서는 밑거름으로 시용하고 특히 알칼리성 비료와 배합하면 수용성 인산이 불용성으로 변하기 때문에 배합해서는 안 된다.  

다. 칼륨
칼륨은 광합성 산물의 전류를 증진시키고 여러 산소 반응계를 활성화하는 기능이 있다. 특히 수분증산작용을 조절하고 뿌리의 발육과 개화결실을 촉진시키며, 일조 부족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너무 많이 주면 질소, 고토, 칼슘, 규산의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공급되는
· 염화칼륨 : 염화칼륨의 칼륨함유량은 수용성 칼륨이 60∼61%이며 토양에 비교적 잘 흡착되고 유지된다. 거름주는 방법은 표층시비하면 아래층까지 잘 이동하지 않으므로 뿌리깊이까지 잘 섞이도록 하며 밑거름, 웃거름으로 사용 가능하고 모래땅보다 점질땅에서 효과가 높으며 모래땅에서는 일부를 웃거름으로 시용하여 한다. 또한 흡습성이 강하므로 다른 비료와 배합을 했을 때는 즉시 시용한다.
· 황산칼륨고토 : 황산칼륨고토는 칼륨광물의 일종인 랑베나이트(KSO4·2MgSO4)를 분쇄하여 제조한다. 수용성칼륨과 마그네슘이 각각 22%, 18% 함유하고 있어 황산칼륨과 황산고토가 배합된 형태의 비료로 칼륨, 고토, 유황성분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칼륨함량이 높고 고토함량이 낮은 경우 기존 복비나 칼륨질 단비에 비해 효과적인 비종이다.

라. 칼슘
칼슘은 펙틴(Pectin)과 결합하여 세포조직이나 세포벽을 형성,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상적으로 세포분열과 증식을 하는데 필요하다. 칼슘은 체내이동이 극히 어렵기 때문에 결핍되기 쉬우며 그 증상은 이미 자란 잎 끝부분에서 볼 수 있는데, 기형적으로 되면서 황백화되고 시간이 가면 잎의 변두리가 괴사된다. 세포벽이 분해되기 때문에 조직이 부드러워지고, 많을 때는 토양이 알칼리성으로 되어 철, 망간, 아연, 붕소 등 미량원소 등의 용해가 낮아져 흡수가 안 된다. 칼슘은 산성토양을 중화하여 중금속의 흡수를 억제하고 유기물 분해를 촉진하며 토양의 화학성을 개선하고 미생물의 활동을 조장하여 토양구조를 개량한다.

마. 규산
규산은 증산작용에 의해 물과 함께 체내를 이동하여 물은 증산되고 규산은 표피세포에 대부분 축적된다. 따라서 잎몸과 왕겨 등의 조직표면에 다량 분포하여 잎몸을 직립으로 유지시켜 군락 내의 광투과를 좋게 하고, 과잉증산을 억제하여 잎몸 내부의 수분 스트레스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CO2의 흡수를 도와 광합성을 촉진한다. 규산은 작토 또는 관개수로부터 많은 양이 공급되지만 부족할 때는 볏짚퇴비, 태운왕겨, 산야초, 용성인비, 규산석회 등을 시용하여 보충 할 수 있다.

2. 거름주는 양 및 거름주는 방법
비료 주는 양의 결정은 재배지역, 관개수, 기후, 토양, 품종, 재배시기 등을 고려해야 하고, 그밖에도 경제적인 사정과 거름주기에 의한 환경오염 여부에 따라 비료의 종류와 주는 양을 결정해야 하며, 최근에는 거름주기에 의한 환경오염이 문제가 되어 거름주는 양을 줄여나가고 있다.

가. 거름주는 양 결정방법
·천연공급량을 고려한 거름주는 양 : 거름주는 양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비료의 천연공급량을 검토해야 하는데, 양분의 천연공급량은 토양 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양과 빗물, 관개수 등에 의하여 공급되는 양을 합하여 대체로 10a당 질소 4.2∼7.2kg, 인산 1.1∼4.9kg, 칼륨 3.4∼6.0kg 정도이다. 거름주는 양의 결정은 우선 목표 수량을 정한 다음 여기에 흡수된 비료의 성분량을 산출하고 이   성분량에서 천연 공급량을 뺀 나머지를 사용할 비료성분의 흡수율로 나누어서 산정한다. 시용한 비료성분의 흡수율은 비료, 토양, 품종, 기상, 재배조건, 거름주는 시기 등에 따라 다르나 질소 40∼60%, 인산 20%, 칼륨 50% 정도이다. 현미 100kg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성분량은 대체로 질소 2.5kg, 인산 1.0kg, 칼륨 2.3kg이므로, 10a당 현미 600kg을 생산목표로 한다면 필요한 성분량은 질소 15kg, 인산 6kg, 칼륨 13.8kg이다(표1)  
(표1) 현미 100kg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성분량(1998, 농진청):첨부파일 참조

거름주는 양을 결정하는 방법(예시)은 다음과 같다.
공식> 첨부파일 참조

현미 600kg을 생산목표로 할 경우 각 비료의 공급량은 아래와 같다. 또한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퇴구비를 10a당 1,000kg을 시용하고, 토양중 유효규산함량은 130ppm이 적당하며 규산질 비료 시용량은 10a당   100∼200kg을 이른 봄에 시용하도록 한다.  
공식>첨부파일 참조

- 복합비료를 줄 때 계산하는 방법 : 복합비료 중 성분량으로 가장 많고 비료 중에 함유하고 있는 성분비율이 가장 많은 것을 기준으로 단비와 같이 계산하고 부족량은 단비로 추가한다.

예) 10a당 거름주는 양인 질소 9kg, 인산 4.5kg, 칼륨 5.7kg을 질소는 50%, 인산은 100%, 칼륨은 70%를 밑거름으로 줄려고 할 때 20kg 포장의 22-12-12 복합비료의 양과 부족분을 요소, 용과린, 염화칼륨으로 보충하고자 할 때의 비료 주는 양은
공식: 첨부파일 참조

· 토양검정에 의한 거름주는 양 : 토양검정에 의한 거름주는 양은 토양에 시용되는 비료성분이 작물이 이용한 후 환경오염원이 될 만큼 많은 양이 남지 않게 하기 위해 토양에 남아있는 양분함량에 따라 결정하는 것으로 질소 거름주는 양 계산방법은 아래와 같다.
완전미 생산을 위한 거름주는 양인 9kg 수준 질소시비 추천식 
N(kg/10a) = 9.14-(0.109×OM(g/kg)+(0.02×SiO2(mg/kg))
프리미엄급 쌀 생산을 위한 거름주는 양인 7kg 수준 질소시비 추천식
N(kg/10a) = 7.10-(0.085×OM)+(0.016×SiO2)
 - 유기물 함량 2.5% 미만시 퇴비 1∼2톤 시용(OM : 유기물 함량(%), SiO2 : 규산 함량(mg/kg))
 - 토양분석 시료만들기 : 토양시료 채취는 수확 후 1개월 이내에 논의 지형과 면적(10∼30a당 1점)을 고려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5점 정도를 작토층(깊이15cm) 깊이로 채취한다. 채취한 토양은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말려 조제한 다음 4분법에 의해 적량씩 취한 다음 혼합하여 300∼500g 정도를 봉지에 넣어 시료로 사용한다.
 - 토양분석 항목 : 토양검정은 작물에 따라 다르지만 벼의 경우는 보통 7성분 정도를 분석하면 거름주기처방을 할 수 있으며, 최근 비료시용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토양검정에 의한 적량시비가 더욱더 필요한 실정이다. 토양분석 항목은 산도,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석회, 고토, 칼륨 및 유효규산이다.
 - 거름주기 처방 : 최근에는 거름주기 처방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 있어 토양분석 결과를 컴퓨터에 입력하면 거름주기 처방서가 자동 출력된다. 거름주기 추천서에는 적정치와 시용해야 할 거름주는 양이 표시되어 있다.

 나. 표준시비량 및 거름주는 방법
· 질소시비량과 거름주는 방법 :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심복백미와 불완전미가 증가하여 완전미 수량이 떨어지고, 단백질 함량이 높고, Mg/K비가 감소되어 미질이 떨어진다. 거름주는 양은 토양검정 실시 후 토양에 함유된 양분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좋지만 토양검정을 하지 못하였을 경우는 지역 및 지대별 표준시비량(표2)을 기준으로, 논토양 특성에 따라 거름주는 양을 가감하여 거름을 주어야 한다. 건토효과가 많은 논, 일조시간이 적은 논, 냉해·침관수·쓰러짐상습지는 질소 20∼30% 줄여주고, 인산·칼륨은 20∼30% 더 주어야 좋다.
(표2) 지역 및 지대별 적정 질소시비량(2003∼2004, 식량원):첨부파일 참조

질소거름을 나누어 주는 양은 (표 2)과 같이 지대 및 논의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평야지 및 중간지의 보통 논은 10a당 밑거름 5kg, 새끼칠거름 2kg, 이삭거름 2kg을 시용하고 늦 이앙 한 논은 밑거름 6kg, 새끼칠거름은 생략하고 이삭거름 2kg을 시용한다(표 3).
(표3) 질소거름 나누어 주는 양(기준):첨부파일 참조

거름주는 시기는 밑거름은 전층시비를 해야 하고, 새끼칠거름은 이앙 후 14일경에 주고, 이삭거름은 일반재배는 이삭패기 전 25일경(어린이삭 길이 1∼1.5mm 때), 고품질 재배는 이삭패기 전 15일경에 준다. 출수 전 32∼27일의 이삭거름은 유수분화기에서 1·2차 지경분화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질소비료를 줄 경우 벼 알수는 증가하지만 마지막 잎과 2잎이 현저하게 자라 빛살받기를 나쁘게 하고 아래 3∼5마디가 커져 쓰러짐을 조장하며, 출수 전 식물체 내 전분의 축적 저하로 여뭄 저하를 조장하고, 과다한 벼알 수 증가로 수정되지 않는 벼 알이 증가하여 오히려 수량 저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삭 거름을   주는 시기는 쓰러짐, 수량 및 미질과 관련이 많으므로 적기에 시용해야 한다. 토양 유형별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최적 질소 거름주는 양은 (표4)와 같이 10a당 보통논, 사질논, 습논은 9kg, 미숙논은 10kg, 염해논은 11kg이었다.  
(표4) 토양 유형별 적정 질소시비량(2003∼2004, 식량원):첨부파일 참조

· 인산과 칼륨 거름주는 양과 거름주는 방법 : 인산의 거름주는 양은 표 31에서와 같이 10a당 인산은 4.5∼7.7kg으로 지대 및 논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거름주는 방법은 전량 밑거름으로 주도록 한다. 칼륨은 5.7∼9.3kg으로 지대 및 논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거름주는 방법은 밑거름으로 70%, 이삭거름으로 30%를 시용한다. 주는 시기는 밑거름은 전층시비를 하고 이삭거름은 이삭패기 전 25일경(어린이삭 길이가 1∼1.5mm 때)에 준다. 토양검정에 의해 칼륨함량이 0.27cmol/kg 이상인 논과 2모작지대 논은 고토가 함유된 벼이삭 거름용 저칼륨 복합비료를 주는 것이 좋다.
(표5) 지대별, 논 유형별 인산과 칼륨거름 주는 양(기준):첨부파일 참조

다. 기타 비료
· 완효성 복합비료 : 완효성 복합비료는 노력절감 및 비료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반면에 비용이 많이 든다. 주는 양은 10a당 43∼49kg을 전량 밑거름으로 준다. 하지만 고온 등으로 유수형성기에 벼에 비료성분이 모자라거나 잎색이 옅을 경우에는 잎색을 고려하여 이삭거름 전용복비를 적정량으로 시용한다.
· 주문배합비료(BB비료) 시용 : 주문배합비료(BB비료)는 토양을 정밀 검정하여 토양 중 함유된 양분과 벼의 표준시비량을 주문에 의하여 질소, 인산, 칼륨의 입상원료를 2종 이상 물리적(화학적 반응 없음)으로 단순배합한 비료이며, 그 종류는 고BB비료(42±5%), 저BB비료(31±5%)가 있으며, 유기물, 황산칼륨 등이 추가된 저특BB비료, 고특BB비료 등이 있다.
· 가축분뇨 액비주기 : 액비는 토양검정 후 질소질 비료의 필요량 중에서 밑거름 양만 시용하는데 시용량은 아래 식에 따라 계산한다.
 - 액비시용량(톤/10a) =〔토양검정에 의한 질소 기비량(kg/10a)÷액비 중 질소(T-N)함량(%)〕×100÷1,000
(표6) 액비중 질소함량에 따른 액비시용 조견표:첨부파일 참조

- 액비는 충분히 썩혀서 익힌 것이어야 하므로 6개월 이상 저장하여 썩혀서  익힌 후 사용해야 한다. 액비를 많이 주면 생육초기에 웃자라거나 헛가지치기가 증가되어 병해충과 쓰러짐을 발생시키며, 토양침투수 중 질산염(NO3-N) 함량이 높아져 지하수 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참고1> 벼 조기재배시 늦이삭 수량성 및 제어 방법(2015 영농활용자료 반영)
○ 조기재배시 품종 및 질소시비량에 따른 늦이삭 발생량 및 수량성:첨부파일 참조
- 품종별 포기당 발생수 및 주율 : 조평벼 3.1개, 90% > 전남1호 2.9개, 79.2%
- 질소시비량별 발생수 : 9kg/10a, 3.2~3.4개 > 7kg, 2.5~2.7개  
- 늦이삭 수량성 : 조평벼 35kg/10a > 전남1호 26kg
표>조기재배시 품종 및 질소시비량에 따른 늦이삭 발생량: 첨부파일 참조

○ 늦이삭 발생 제어방법
- 2,4-D 표준량 1/2량을 유효분얼∼유수형성기 사이 처리하거나 액상규산(17%) 1,000배액을 최고분얼기~수잉기 사이 처리로 각각 32%, 28% 감소

<참고 2> 논에서 헤어리베치 환원에 따른 미생물상 개선 효과(2015 영농활용자료)
○ 논토양에서 헤어리베치 환원 시 토양미생물상 개선 효과로 헤어리베치  2년 연속 환원 시 양분흡수에 관련된 미생물 지표인 MBN(Microbial biomass N), PMN(Potentially mineralizable N), 및 세균수가 헤어리베치를 환원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표>논에서 헤어리베치 환원에 따른 미생물상 개선 효과: 첨부파일 참조

○ 헤어리베치 환원 유무에 따른 논토양의 양분적 특성, 미생물 특성 및 작물의 생육특성 등을 고려한 토양질(soil quality) 지수 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헤어리베치를 환원한 쟁기+로터리경운 처리구에서는 1.35, 로터리 경운에서는 1.44로 최소지속성 지수 1.30 이상의 값을 이므로 지속성이 인정되었다.
· 경운방법 및 헤어리베치 환원에 따른 논토양에서 토양질 지수: 첨부파일 참조

<참고 3> 녹비작물 이용 벼 재배시 인산성분 감소에 따른 인산질비료 시용 추천(2015 영농활용자료 반영)
○ 녹비작물+벼 재배 작부체계에서 토양 비옥도 유지를 위한 인산 시비량
- 녹비보리+헤어리베치 혼파 비율 : 녹비보리 75% + 헤어리베치 25%
- 인산(P2O5) 수지 : -3.4 kg/10a   
- 인산(P2O5)질비료 시비 요구량 : 3.4 kg/10a  
* 1.49 × P2O5/P2 = 3.41
표>첨부파일 참조

- 처리방법에 따른 늦이삭 발생정도 및 수량성:첨부파일 참조

<참고 4> 논에서 볏짚퇴비 시용에 의한 흑미 안토시아닌 함량 증대효과 (2015 영농활용자료 반영) 
○ 흑미인 조생흑찰 재배시 화학비료와 볏짚퇴비를 같이 시용할 때 일반 3요소 대비 색소함량은 22%, 색소생산량은 28% 증가하였다. 
○ 비료 및 볏짚퇴비 장기연용 논에서 흑미재배시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13∼’14, 식량원)
○ 비료 및 볏짚퇴비 장기연용 논에서 흑미의 안토시아닌 함량 및 생산량(‘13∼’14, 식량원)

※ 자료출처 : 농촌진흥청 농사로(http://www.nongsar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