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똥 은 왜 하얀색 일까

새똥 은 왜 하얀색 일까

출처 여성시대 밤 식 빵, 이미지 출처 pixabay 무료이미지

~이전글~
염소 눈동자 모양은? 정답: 직사각형
http://m.cafe.daum.net/subdued20club/ReHf/1823362?svc=cafeapp

안녕 여새들
동생이 여행가서 외쿡 음식을 먹더니 검은색 똥을 싸벌임..
세상에... 먼 달팽이도 아니고...

그래서 새똥은 왜 하얀색인지 궁금해짐

귀여운 애들로 골라오긴 했지만 조류사진 있음 주의

전래 귀엽지만 와꾸에 속아서는 안됨
아주 무서운 녀석이기 때문임

^^....

(여새들의 비위를 위해 비슷한 사진으로 대체함)

얘네들 똥은 하얀색일 뿐만 아니라
아주... 액체스러움

이런 사진은 대체 왜 검색되는 것임;;; 심장 떨어질뻔;;

어쨌든
새똥을 알기 위해서는 새의 단면도를 볼 필요가 있음

쫜 닭의 단면도임

저기 동그라미친 "Cloaca" 보임?
저 곳이 바로 새의 돈고임

그리고 동시에 생식기이자 요도이기도 함

예...? 똥 싸는 곳으로 생식도 한다고요...?
이거 뭐 형냐도 아니고...

예 사실입니다.
몇몇 종류를 제외한 조류는 Cloaca = 총배설강이라는 곳으로
생식 배설 비뇨 역할을 모두 수행함

이게 무슨 뜻이냐면

새의 똥은...
소변과 대변의... 끔찍한 혼종이었다는 소리임...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아는것과 같이 매우 액체스러움

새는 포유류와 달리
날기 위해서는 몸이 가벼워야 하기 때문에
신체 내 기관을 최소화하면서
배변 비뇨 생식을 모두 한꺼번에 하도록 진화된 것

그래서 여시들은 달걀 껍질을 먹는 것을 지양하고...
먹더라도 깨끗히 씻어 먹어야 함....☆

그렇다면 색깔은 왜 하얀색인 것임?

그것은 소변에 함유된 "요산" 때문임
얘는 액체일때는 무색인데 고체일때 하얀색임

포유류는 대변과 소변을 따로 배출할 뿐더러
요산이라는 성분이 소변에 "녹아서" 배출되기 때문에
오줌도 하얀색이 아님

그러나 조류는 대변과 소변을 함께 배출할 뿐더러
소변에 함유된 요산이 "고체의 형태"로 배출되어서
덕분에 똥이 하얗게 보이는 것

정확히 말하자면 새똥의 하얀부분은 새의 오줌이고
나머지가 똥임

여새들 비위가 괜찮다면 관찰해보길...
물론 나는 안할거임

그리고 자료 찾다가 알게 된 사실인데

세계에서 세번째로 작은 나라인 "나우루"는

새똥이 쌓여서 만들어진 나라라고 함
전래 신기;;

끝임
문제 있으면 알려주삼

+
앗 여시들
똑똑한 다른 여새들의 말로는
계란 껍질을 물로 닦으면 세균이 더 잘생긴다고 합니다 ㅠㅠ

[문화뉴스] 새똥이 흰색인 이유는 무엇일까?

'똥'의 색은 대부분 어두운 색이다. 인간과 동물 모두 그렇다. 검은색, 갈색 등 빛깔 차이가 있긴 해도 모두 어두운 계열의 색이다. 반면 '조류'의 똥은 다르다. 길을 걷다 새똥을 맞아본 사람은 알겠지만 새의 똥은 '흰색'이다. 왜 새의 똥은 흰색인 것일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류에게는 요도 즉 '소변'을 배설하는 기관이 없다. 때문에 조류는 항문을 통해 소변을 배설하게 된다. 즉 항문을 통해 소변과 대변을 모두 배설하는 것. 우리가 보는, 또는 맞게 되는 새똥은 사실 새의 소변과 대변이 합쳐진 혼합물인 것이다.

조류의 소변에는 '요산'이라는 유기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요산은 탄소, 산소, 질소 등으로 이뤄진 것으로 맛과 냄새가 없는 '하얀색'의 결정 형태를 말한다. 이 요산이 있기 때문에 조류의 소변은 흰색이 되는 것이고 조류는 소변과 대변을 함께 배출하기 때문에 '새똥'이 흰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한편 새똥으로 인해 전세계의 주목을 받은 사람이 한 명 있다. 영국의 축구 클럽 맨체스터 유니이티드 소속 축구선수 '애슐리 영'은 경기 도중 새똥을 입에 맞았고 새똥이 입으로 들어가는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된 바 있다. 당시 경기를 지켜보던 전세계의 사람들은 애슐리 영이 새똥을 맞는 장면에 웃음을 터뜨릴 수 밖에 없었다.

새똥 은 왜 하얀색 일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뉴스 콘텐츠에디터 이누리

<저작권자 Copyright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새똥 은 왜 하얀색 일까

새똥은 왜 '흰색'일까? (새똥=소변+대변)

입력 : 2017.12.05 5:03 PM

| 수정 : 2017.12.05 5:03 PM

동물도, 인간도 똥은 대부분 검은색이나 갈색이죠. 그런데 흰색 똥도 있답니다. 바로 새의 똥인데요. 그렇다면 새는 왜 흰색 똥을 싸는 걸까요?

새똥 은 왜 하얀색 일까
새똥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새의 장기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동그라미 부분에 해당하는 '클로아카(Cloaca)'가 바로 새의 '총배설강'인데요.

몇몇 조류를 빼고는 총배설강에서 생식, 배설, 비뇨 역할을 모두 수행한답니다. 즉, 조류는 요도(소변을 배설하는 기관)가 따로 없다는 건데요.

새똥 은 왜 하얀색 일까
그러니까 우리가 보게 되는 새의 똥은 소변과 대변이 합쳐진 혼합물이라는 거죠.

새똥 은 왜 하얀색 일까
그래서 새똥이 액체에 가깝다고 느낀 겁니다.

새똥 은 왜 하얀색 일까
색깔은 왜 흰색이냐고요? 그건 바로 소변에 함유된 '요산'이라는 유기화합물 때문입니다.

요산은 탄소, 질소, 산소, 수소 등으로 이루어진 물질로 액체일 때는 무색인데요. 고체일 때는 흰색으로 변한답니다.

새똥 은 왜 하얀색 일까
소변에 함유된 요산이 고체로 배출돼서 똥이 흰색이었던 것입니다.

<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