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와 기회 의 가정 분석 방법

문제 해결력은 과소 평가되고 있는 재능입니다. 이 능력은 혼란스럽고 힘든 시기에 명확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며, 많은 전문가들이 문제 해결력을 팬데믹 이후 구직자들에게 필수적인 소프트 스킬(Soft Skill)로 꼽습니다.

문제 해결력을 키우려면 '무엇을, 어떻게, 왜'에 초점을 맞춘 구조화된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계별 가이드가 되어줄 5가지 질문으로 나누어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1: 왜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듣는 이들에게도 영향을 치는 당면 과제를 분명하게 명시하는 몇 개의 짧은 문장으로 문제를 서술하세요.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세부정보를 활용합니다. “우리는 품질 문제로 인해 매년 손실이 발생했습니다.”라는 문장 대신 “2019년에 품질 결함으로 인해 백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전체 매출의 5%에 해당합니다.” 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를 너무 광범위하게 정의하면 해결할 리소스가 부족할 수 있고, 너무 세부적으로 정의하면 좀 더 넓은 범위에서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범위 내에서 정의해야 합니다. 또한, “품질 보증 컨설턴트를 고용해야 합니다.”와 같은 솔루션을 성급하게 추가하지 마세요. 솔루션은 나중에 찾을 수 있습니다.

질문 2: 성공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무엇을 달성하려 하는지, 목표 달성 여부는 어떤 주요 성과로 판단할 수 있는지를 정의하여 목표를 설정합니다. 솔루션이 아닌 달성할 목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방문자에게 직관적이고 즐거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웹사이트 만들기'는 목표이지만 ’5명의 UX 디자이너 채용’은 솔루션입니다. 그런 다음 측정 가능한 주요 성과를 정의하여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합니다. ‘클릭률 증가’는 모호하지만 ‘클릭률 30% 증가’는 측정이 가능한 목표입니다.

질문3: 이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

이제 잠재적인 솔루션에 대해 브레인스토밍할 때입니다.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알아내는 데서 시작하세요. 동일한 문제에 대한 연구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전에 유사한 문제를 다룬 사례를 업계 밖의 '평행선상의 다른 세계(parallel worlds)'에서 찾아보세요.

그룹 브레인스토밍을 진행 중인 경우 중재자로 한 사람을 선택하고 다른 사람들을 시간 관리자 및 회의록 작성자로 지정합니다. 그런 다음 문제를 해결하고 목표 및 주요 성과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솔루션을 최대한 많이 브레인스토밍하세요. 모두가 자신의 생각을 확장하도록 하고, 크고 작은 아이디어 모두를 가감 없이 공유하도록 하세요.

잠재적인 솔루션 목록이 준비되었다면 솔루션 트리에 넣어 목표를 구조화하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전략)을 모색합니다. 목표를 적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간단한 예로 목표가 ‘제품 매출 증대’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목표에서 다수의 가지가 뻗어 나와 ‘동일 제품 판매 증대’ 및 ‘신제품 판매 시작’과 같이 브레인스토밍한 솔루션을 하나씩 나열하도록 합니다.

솔루션 트리

질문 4: 실제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우선순위 맵은 어떤 아이디어에 노력을 쏟아야 할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효과'를 나타내는 세로축과 ‘노력'이라는 라벨이 붙은 가로축이 있는 그래프를 만듭니다. 그런 다음 모든 잠재적 솔루션을 그래프에 표시합니다.

우선순위 맵

영향력이 크고 많은 노력이 필요한 솔루션은 업무에서 가장 주력해야 할 것입니다. 영향력이 크고 노력이 적게 든다면 빠른 성과를 낼 수 있으며,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좋습니다. 영향력이 적고 노력이 적게 드는 솔루션이라면 우선순위를 낮추고 여유 시간이 있을 때만 집중해야 합니다. 영향력이 적으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한 솔루션은 아마도 시간을 투자할 가치가 없을 것입니다.

질문 5: 어떻게 업무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불필요한 세부 사항은 제외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간단한 계획을 세웁니다. 누가 언제 무엇을 할지를 나누어 표시한 업무 진행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열에는 문제 해결의 단계를 구성하는 모든 업무 조치(action)를 입력하세요. 두 번째 열에는 각 업무의 책임자와 완료 기한을 표시합니다.

업무 진행표

모든 사람이 동일하게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업무를 책임질 사람과 완료 기한에 대해 논의하고 의견을 모읍니다. 업무 진행표를 해당 인원과 공유하고 정기적으로 함께 검토하여 기한을 맞출 수 있도록 합니다.

아무리 계획을 잘 세웠더라도 상황은 달라질 수 있고, 따라서 계획도 변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진행 상황을 잘 파악하면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정할 마음의 준비를 하세요.

문제 해결이 항상 복잡한 것은 아닙니다. 올바른 단계를 따르면, 지나치게 빨리 해결 모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무엇을, 어떻게, 왜’ 구조를 머릿속에 떠올리면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정책 문제 구조화 방법

① 경계분석:메타 문제의 경계 추정
② 분류분석:개념의 명료화(실질적 적실성, 총망라성, 분절성, 일관성, 계층적 독특성)
③ 계층분석:가능하고, 개연적이고 행동가능한 원인의 식별
④ 시네틱스(cynectics):문제들 사이의 유사성 인식
⑤ 복수관점분석:통찰력 제고
⑥ 가정분석:갈등 있는 가정들의 창조적 통합, 가장 포괄적 분석 

① 경계분석(boundary analysis):정책문제는 복잡·다양하며 상호 의존적이다. 따라서 경계분석이 필요하다. 경계분석은 문제의 경계, 즉 분석가가 다루어야 할 문제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② 분류분석(classification analysis):문제 상황을 정의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념을 명백하게 하거나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한 기법이다.
③ 계층분석(hierarchy analysis):문제의 원인을 식별하기 위한 기법이다. 즉, 가능한 원인(possible causes), 개연적 원인(plausible causes), 행동 가능한 원인(actionable causes)을 식별하기 위한 기법이다.
⑥ 가정분석(assumption analysis):정책문제에 관한 서로 대립되는 가정(전제)의 창조적 종합을 목표로 하는 기법이다.
문제구조화의 제반기법과 예측의 기법중 판단적 예측에 해당하는 기법은 질적 기법에 해당한다.

● 문제 구조화 단계

"탐정구감"
⇨ 문제의 탐색(problem searching)
⇨ 문제의 정의(problem definition)
⇨ 문제의 구체화(problem specification)
⇨ 문제의 감지(problem sensing)
4가지 독립된 단계를 갖는 문제의 구조화에서 핵심은 그 문제를 결정짓는 중요 인자들을 파악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양한 문제표현(problem representation)을 탐색, 발견함으로써 문제상황(problem situation)의 대안적 개념화를 도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기출지문

✽ 던(Dunn)은 정책문제를 구조화가 잘된 문제(well-structured problem), 어느 정도 구조화된 문제(moderately structured problem), 구조화가 잘 안된 문제(ill-structured problem)로 분류한다.   
✽ 구조화가 잘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분석가는 전통적인(conventional)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 문제구조화는 상호 관련된 4가지 단계인 문제의 감지, 문제의 정의, 문제의 구체화(추상화X), 문제의 탐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 문제구조화의 방법으로는 경계분석, 분류분석, 가정분석 등이 있다.

 Q

 정책문제의 구조화 기법과 설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 경계분석(boundary analysis) Ⓑ 가정분석(assumption analysis)analysis) 
Ⓒ 계층분석(hierarchy analysis)  Ⓓ 분류분석(classification  

㉠ 정책문제와 관련된 여러 구조화되지 않은 가설들을 창의적으로 통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으로, 이전에 건의된 정책부터 분석한다. 
㉡ 간접적이고 불확실한 원인으로부터 차츰 확실한 원인을 차례로 확인해 나가는 기법으로, 인과관계 파악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 정책문제의 존속 기간 및 형성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으로, 포화표본 추출(saturation sampling)을 통해 관련 이해당사자를 선정한다. 
㉣ 문제 상황을 정의하기 위해 당면 문제를 그 구성요소들로 분해하는 기법으로, 논리적 추론을 통해 추상적인 정책문제를 구체적인 요소들로 구분한다. 

Ⓐ Ⓑ  Ⓒ  Ⓓ 
① ㉠ ㉢ ㉡ ㉣ 
② ㉠ ㉢ ㉣ ㉡ 
③ ㉢ ㉠ ㉡ ㉣ 
④ ㉢ ㉠ ㉣ ㉡ 

【해설】옳게 연결된 것은 ③이다. 
Ⓐ 경계분석(boundary analysis):정책문제는 복잡·다양하며 상호 의존적이다. 따라서 경계분석이 필요하다. 경계분석은 문제의 경계, 즉 분석가가 다루어야 할 문제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 가정분석(assumption analysis):정책문제에 관한 서로 대립되는 가정(전제)의 창조적 종합을 목표로 하는 기법이다.
Ⓒ 계층분석(hierarchy analysis):문제의 원인을 식별하기 위한 기법이다. 즉, 가능한 원인(possible causes), 개연적 원인(plausible causes), 행동 가능한 원인(actionable causes)을 식별하기 위한 기법이다.
Ⓓ 분류분석(classification analysis):문제 상황을 정의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념을 명백하게 하거나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한 기법이다.
[정답] ③ 


 Q 
 정책분석에 있어서 문제구조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던(Dunn)은 정책문제를 구조화가 잘된 문제(well-structured problem), 어느 정도 구조화된 문제(moderately structured problem), 구조화가 잘 안된 문제(ill-structured problem)로 분류한다.
② 구조화가 잘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분석가는 전통적인(conventional)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③ 문제구조화는 상호 관련된 4가지 단계인 문제의 감지, 문제의 정의, 문제의 추상화, 문제의 탐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④ 문제구조화의 방법으로는 경계분석, 분류분석, 가정분석 등이 있다.

【해설】 [정답] ③ 문제의 추상화가 아니라 문제의 구체화이다. W.Dunn은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가, 문제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기준으로 문제를 구조화하는 단계를 문제의  문제의 탐색(problem searching), 정의(problem definition), 문제의 구체화(problem specification), 문제의 감지(problem sensing) 등 4가지로 제시하였다.
[문제의 구조화] "탐정구감"
⇨ 문제의 탐색(problem searching) 
⇨ 문제의 정의(problem definition) 
⇨ 문제의 구체화(problem specification) 
⇨ 문제의 감지(problem sensing) 
4가지 독립된 단계를 갖는 문제의 구조화에서 핵심은 그 문제를 결정짓는 중요 인자들을 파악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양한 문제표현(problem representation)을 탐색, 발견함으로써 문제상황(problem situation)의 대안적 개념화를 도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문제 와 기회 의 가정 분석 방법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문의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사회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