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너에게 안녕이라 말할까 샹송

지니에서는 아래와 같은 운영 원칙을 적용합니다.

1. 댓글 숨김
  타인에 의하여 5회이상 신고가 접수 된 댓글의 경우, 해당 게시글 접근을 임시적으로 차단하는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숨김 처리된 댓글의 작성자가 복원 신청을 할 경우 심의 결과에 따라 삭제 또는 복원 될 수 있습니다.

2. 댓글 삭제
  사용자들의 신고 또는 관리자에 의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 된 댓글이 발견 되었을시,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1) 타인의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불이익을 주는 행위
  (2) 음란물을 게재, 공개하거나 음란 사이트를 연결하는 행위
  (3) 욕설, 비속어 사용 및 특정대상을 비하하는 행위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상업적 광고 또는 사이트/홈피를 홍보하는 행위
  (6) 같은 내용의 글을 반복적으로 작성하는 행위
  (7) 지역 감정 및 정치적으로 민감한 내용으로 회원들간의 분란을 야기하는 행위
  (8) 기타 관련 법률 및 약관에 위배되는 글을 작성하는 행위

3. 이용 제한
  관리자에 의하여 3회 이상 삭제 당하였거나, 지속적으로 악의적인 댓글을 작성한 사용자는 댓글 작성 기능에 제한을 받습니다. 제한 기간은, 작성한 글의 내용과 상습적인지 판단하여 결정합니다.

4. 신고 제한
  타인이 작성한 댓글에 허위신고를 하는 사용자는 신고 횟수 제한과 같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관련 문의
  고객센터 > 문의하기

2003년 2월에 올렸던 글입니다.
-------------------

이번에는 프랑스와즈 아르디(Françoise Hardy)의 노래 ‘Comment te dire aideu’ 라는 노래를 같이 해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 노래를 해석하기 전에 이 노래에 얽힌 사연을 하나 소개할까 합니다. 이 곡은 (저도 오늘 처음 알게 된 사실인데) 영국에서 발표된 연주곡 ‘It hurts to say Goodbye’에 세르쥐 겡즈부르(Serge Gainsbourg)가 가사를 만들었다고 하네요. 프랑스와즈 아르디가 영국에서 처음 ‘It hurts to say Goodbye’를 듣고, ‘이 노래 뜨겠구나’라고 생각을 했대요. 그래서 이 곡을 가지고 와서 겡즈부르에게 들려주었고, 겡즈부르는 아르디를 위해서 처음으로 자신이 작곡한 노래가 아닌 곡에 가사를 붙여주었다고 합니다. 물론 68년 11월에 발표된 이 노래는 대박을 터뜨렸다고 하네요.. 겡즈부르 같이 대단한 인물이 다른 사람의 곡에 가사를 붙였다는 사실이 정말 놀랍더군요. 그런데 가사를 조금만 자세히 살펴보면 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예전에 제가 연수를 하면서 이 곡을 수업시간에 배웠었는데, 가사의 각행이 전부 ‘x’로 끝나고 있답니다. 불어 좀 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불어 단어에서 ‘x’로 끝나는 단어가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어떤 경우에는 ‘x’가 들어가는 단어의 중간에서 끊기도 했더군요. 그렇게 몇 안 되는 단어를 사용해서 운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겡즈부르의 천재성을 엿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서두가 좀 길었는데, 시적으로 운을 맞춘 노래이니 가사도 아름다울 것 같다는 예감이 들지 않나요? 그런데 이 노래, 참 슬픈 곡입니다. 경쾌하게 시작하는 멜로디와는 달리…
그럼 이제 시작해 볼까요?

  1. 2. Comment Te Dire Adieu _

Commet te dire adieu(어떻게 너에게 이별을 얘기할 수 있겠니)

그럼 첫 번째 문장부터 같이 보시지요.
1. Sous aucun prétexte je ne veux avoir de reflexe malheureux.
-> 직역 : 어떤 경우에도 나는 불행한 반응을 보이고 싶지 않아.
- 이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표현은 ‘sous aucun prétexte’라는 표현입니다. 부정의 표현과 함께 사용되는데, ‘어떤 경우에도’, ‘무슨 사정이 있다 해도’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prétexte’는 사전적으로 ‘구실’, ‘핑계’ 이라는 뜻이 있는데, 이 ‘prétexte’를 이용한 중요한 관용적인 표현이 하나를 소개하자면, ‘sous prétexte que +ind’ 혹은 ‘sous prétexte de + inf’ 라는 표현인데, 뜻은 ‘~라는 구실로’, ‘핑계로’라는 이유를 나타내는 중요한 표현입니다. 예문 하나 들어 볼까요? ‘J’ai refuse son invitation sous prétexte de maladie.’ 해석하면 ‘아프다는 핑계로 초대를 거부했다’ 뭐 이런 뜻이 되겠지요.
- 이 문장에서 초보자들이 보시면 한 가지 궁금하게 생각하실 것이 하나 있을 것입니다. 바로 ‘je ne veux’에서 ‘pas’ 가 생략된 것이지요. 일반적으로 불어에서 부정문을 만드는 방법은 ‘ne’ ~ ‘pas’를 동사 앞 뒤에 넣어서 만듭니다. 그리고 구어에서는 앞에 나오는 ‘ne’를 생략하기도 하지요. 예를 들어서 ‘je ne sais pas’ 같은 경우에는 ‘je sais pas’ 이렇게 표현을 하는데, 프랑스 애들 같은 경우에는 앞의 주어 ‘je’를 생략하거나, ‘je’ 발음과 ‘sais’ 발음을 섞어서 한 번에 발음하기도 합니다. ‘쉐파’ 이런 식이지요. 처음엔 이 것도 뭔 소린가 하고 한참 고민했던 적도 있었답니다. 얘기가 옆길로 새버렸는데, 보통은 'ne'를 생략하는데 이 문장에서는 ‘pas’가 생략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럼 이것이 허사의 'ne'냐고요? 그건 아닙니다. 분명 부정문이지요. 이렇게 부정문에서 'pas'를 생략하는 경우는 보통 다음의 다섯가지 동사와 함께 쓰일때 입니다. ‘oser’ ‘cesser’ 'pouvoir’ 'vouloir' ‘savoir’ 이 동사들을 잘 염두해두시면 다음에 이런류의 문장이 나와도 덜 당황해하시리라 생각됩니다.

2. Il faut que tu m'expliques un peu mieux
comment te dire adieu.
-> 직역 : 너는 내게 조금 더 설명을 해줘야만 한다. 어떻게 내가 너에게 안녕이라고 말하겠니.
- 'Il faut que' 다음에는 항상 접속법이 옵니다. 이건 불어 배우시는 분들 대부분 공식처럼 외우시는 거죠. ‘~ 해야만 한다.’ ‘Il faut’ 다음에 명사가 오면 ‘~필요하다’, 동사원형이 오면 ‘~해야 한다’ 구어든 문어든 아주 잘 써먹는 표현이지요.
- ‘mieux’는 ‘bien’의 비교급인건 다 아시지요? 그럼 ‘bon’의 비교급은? 네 ‘meilleur’ 입니다. 이런 것도 불어 처음 배울 때는 참 헷갈리는 것 중 하나지요. 전 그래서 고등학교때 처음 배울 때, bien-mieux를 외울 때 똑같이 ‘–ie-’라는 단어가 순서대로 들어 가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서 외웠었답니다. 참 ‘mauvais’의 비교급은 ‘pire’ 인 것도 아시지요? 최상급은 비교급에 정관사(le, la, les’ 붙이면 되는 겁니다. ‘mieux’가 ‘x’로 끝나는 단어여서 이 노래에 ‘mieux’라는 단어가 참 자주 나오네요.
- ‘adieu’라는 단어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가끔 우리나라 신문에서도 ‘아듀 어쩌고 저쩌고’ 하는 것을 보셨을 테니까요. ‘영원히 안녕’ 혹은 오랫동안 보지 못할 때 하는 인사입니다. 불어에서 헤어질 때 인사말을 보면 모두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 ‘à’가 있답니다. ‘à’ + ‘다음에 만날 날 혹은 시간’ 을 씁니다. 예를 들어서 ‘내일 보자’ 그러면, ‘à demain’이 되는 것이고, ‘수요일에 만나’ 그러면 ‘à mercredi’, ‘조금 후에 보자’ 그러면 ‘à tout à l’heure’가 되겠지요. ‘adieu’도 마찬가지에요. ‘‘à + dieu’가 합성된 것이지요. 왜 ‘영원한 이별’을 이야기할 때 ‘신dieu’를 찾는지에 대해서는 각자 상상해보시길…

3. Mon coeur de silex, vite, prend feu.
      Ton coeur de pyrex resiste au feu.
-> 직역 : 나의 가슴은 빨리 불이 붙어 버리는 부싯돌이고, 너의 가슴은 불에 잘 저항하는 피렉스(불에 강한 유리)이다.
- 정말 멋진 비유지요. 자신의 가슴은 사랑에 쉽게 불이 붙어버리는 부싯돌이고, 떠나려는 님의 가슴은 활활 타오르는 사랑에도 잘 저항하는 피렉스라니… ‘pyrex’는 60년대 개발되어서 엄청난 판매를 올렸던 내열 유리의 이름이라고 하더군요. 요즘도 프랑스에서 유리 제품을 살때 보면 ‘pyrex’라는 단어가 써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참 여기서 ‘mon coeur de silex’에 사용된 ‘de’는 동격의 ‘de’ 입니다.

4. je suis bien perplexe.
    je ne veux me résoudre aux adieux.
-> 직역 : 나는 무척 당혹스럽다. 나는 이별을 결심하고 싶지는 않아요.
- ‘résoudre’는 동사 그 자체로는 ‘풀다’, ‘해결하다’, ‘결심시키다’, ‘결심하다’ 이런 뜻이 있습니다. 이것이 대명동사 ‘se résoudre’가 되면 뒤에 ‘à’가 오고, 동사원형이나 명사가 오며 뜻은 ‘결심하다’, ‘각오하다’라는 뜻이 됩니다.
- 그런데 여기서 왜 ‘adieu’가 복수가 되었을까요? 사전을 찾아보니 ‘adieu’가 복수가 되면, 뜻이 ‘작별인사’라고 표시가 되어 있네요. 아마도 두 사람이 서로 ‘adieu’라고 말을 한다면, 진정으로 두 사람의 헤어짐을 의미해서 그렇게 해석이 되는 게 아닐까요. 

5. Je sais bien qu'un ex-amour n'a pas de chance,
ou si peu mais pour moi, une explication voudrait mieux.
-> 직역 : 나는 지나간 사랑이 행운이 없다는 걸 잘 알고 있어요.
혹은 거의 없었을지도, 그렇지만 나를 위해서 한 마디의 설명이 더 값질 것 같은데.
- 명사 앞에 ‘ex’ 가 붙으면 ‘지난’ 혹은 ‘예전’ 이런 뜻이 됩니다. 예를 들면, ‘ex-petit ami’ 그러면 ‘옛날 남자친구’가 되는 것이고, ‘ex-président’ 그러면 ‘전(前)대통령’이 되는 거지요. 그리고 젊은 사람들끼리 ‘엑스ex’ 라고만 표현하는 것을 혹시라도 들으신다면, 그것은 십중팔구 ‘옛 애인’을 표현하는 것이겠지요.
- 또 부정문에 대한 설명을 조금 더 드려야겠네요. 평서문을 부정문으로 바꿀 때, 부정관사와 부분관사는 모두 de로 바뀝니다. 예를 들면, ‘J’ai fais encore des fautes.’를 부정문으로 바꾸면, ‘Je n’ai fais plus de fautes’ 가 됩니다. 물론 예외적인 경우도 있는데, 첫 번째는 두 가지 명사를 대립시키고 싶을 때이고, 두 번째는 ‘un(e)’을 ‘유일한’의 의미로 사용할 때 관사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예문. 1. Je ne prendrai pas une glace à la vanilla mais un sorbet au cassis.
           2. Elle était intimidée; elle n’a pas dit un mot.
- 여기에 ‘si peu’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해석하는데 제가 약간 고민을 했던 부분입니다. 관용적인 표현 중에 ‘si peu que +접속법’ 이 있는데, ‘아무리 적게 ~하더라도’라는 뜻을 갖습니다. 예를 들면, ‘Si peu qu’il soit en retard, elle s’inquiète.’ ‘그가 조금만 늦어도 그녀는 걱정을 한다.’라는 뜻이지요. 물론 이 문장에서는 이런 표현이 아니고, 단순하게 ‘si’가 부사로 ‘peu’를 강조해주고 있다고 보면 될 것입니다. 즉 ‘si peu de chance’를 의미하는 것이 겠지요.
- ‘valoir’ 동사는 배워두시면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는 단어 입니다. 동사 변화도 멋대로 변하니까 같이 외워두셔야 겠지요. 이 단어는 ‘가치가 있다’ 라는 뜻인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숙어를 하나 소개해드리면, ‘il vaut mieux + inf (혹은 ‘que’ 다음에 접속법)’ ‘~하는 것이 더 낫다’라는 뜻입니다.

6. Sous aucun pretexte, je ne veux, devant toi, surexposer mes yeux.
Derriere un kleenex, je saurais mieux
comment te dire adieu,
comment te dire adieu.
-> 어떤 경우에도 나는 네 앞에서 내 눈을 보여주고 싶지 않아.
차라리 크리넥스 뒤에서라면 나는 더 잘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떻게 네게 안녕이라고 말해야 할지를
어떻게 네게 안녕이라고 말해야 할지를

- 전치사 다음에는 항상 강세형 인칭대명사가 나옵니다! 강세형 인칭대명사는 moi, toi, lui, elle, eux, elles 이런 것을 말합니다. 또 강세형 인칭대명사가 나오는 경우는 ‘강조’를 할때도 나온답니다. 예를 들어서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라고 표현할 때 ‘J’aime la musique’ 앞에 ‘moi’를 붙여주면 강조의 의미가 들어가는 것이지요. 즉 ‘Moi, j’aime la musique’ 이렇게 되는 거지요.
- 이 부분도 직역을 해보니 어색하기 짝이 없네요. 문맥에 맞게 한 번 생각을 해볼까요. 남자는 이별을 말했고, 여자는 받아들일 수 없어 합니다. 여자는 이별을 듣고 슬픔에 잠겨 계속 눈물을 흘렸겠지요. 그러니 남자 앞에서 자신이 울어서 퉁퉁 부어버린 눈을 보이고 싶지 않았겠지요. 차라리 크리넥스로 눈물을 닦으면서, 이 이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를 생각할 수 있었겠지요… 너무 슬프네요…

        7. Tu as mis a l'index nos nuits blanches,
nos matins gris-bleu, mais pour moi une explication voudrait mieux.
-> 직역 : 너는 우리의 하얀 밤들을, 그리고 우리의 회색 빛 푸르른 아침을 잊어버렸다.
그렇지만 나에게는 한 마디의 설명이 더 값질 것 같은데.
- ‘index’라는 단어 많이들 사용하시지요? 보통 영어로도 ‘색인’, ‘찾아보기’ 이런 의미를 갖고 있는데, 불어에서는 ‘검지’, ‘집게 손가락’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또한 이 ‘index’라는 단어는 예전에 카톨릭에서 ‘금서목록’을 나타낼 때도 사용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mettre à l’index’라는 표현에 비유적으로 ‘블랙 리스트에 넣다’ 혹은 ‘위험시하다’ ‘배제하다’라는 뜻이 있답니다. 여기서는 좀 의역을 해보면, 우리가 함께 지냈던 시간들을 모두 잊어서 없애버렸다는 의미가 되겠지요. 그리고 혹시라도 왜 밤은 하얗고, 아침은 회색 빛 푸르름이라고 표현했는지에 대해서 의문을 갖고 계시는 분은 없으시겠지요?

8. Sous aucun pretexte, je ne veux, devant toi surexposer mes yeux.
derrière un kleenex, je saurais mieux
comment te dire adieu,
comment te dire adieu,
comment te dire adieu.
-> 직역 : 어떤 경우에도 나는 네 앞에서 내 눈을 보여주고 싶지 않아.
차라리 크리넥스 뒤에서라면 나는 더 잘 알 수 있을 것 같아.
어떻게 네게 안녕이라고 말해야 할지를
어떻게 네게 안녕이라고 말해야 할지를
어떻게 네게 안녕이라고 말해야 할지를

휴~ 이제서야 다 끝났네요. 이번 강좌는 좀 길었지요? 어디서 들은 풍월은 있어서 해석을 하다 보니까 쓸데없는 얘기들이 더 많았던 것 같네요. 자 이제 전체적으로 한 번 쭉 해석을 해볼까요?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번에는 가사에서 각운 ‘x’의 느낌을 살리면서 가사를 옮겨 적었습니다.

---------------------

Comment te dire adieu

sous aucun prétex-
te je ne veux
avoir de reflex-
e malheureux.

il faut que tu m'ex-
pliques un peu mieux
comment te dire adieu.

mon coeur de silex,
vite, prend feu.
ton coeur de pyrex
resiste au feu
je suis bien perplex-
e. je ne veux
me résoudre aux adieux.

je sais bien qu'un ex-
-amour n'a pas de chance,
ou si peu
mais pour moi, une ex-
plication voudrait mieux.

sous aucun pretex-
te, je ne veux
Devant toi, surex-
poser mes yeux.
Derriere un kleenex,
je saurais mieux
comment te dire adieu,
comment te dire adieu.

Tu as mis a l'index
nos nuits blanches,
nos matins gris-bleu,
mais pour moi une ex-
plication voudrait mieux.


Sous aucun pretex-
te, je ne veux,
devant toi surex-
poser mes yeux.
derrière un kleenex,
je saurais mieux
comment te dire adieu,
comment te dire adieu,
comment te dire adieu.

어떻게 네게 이별을 말할 수 있겠니

어떤 이유로도 불행한 모습을 네게 보이고 싶지 않아.
넌 이별에 대해서 설명을 해줘야만 해. 
내가 이별을 말하려면…

내 가슴은 쉽게 사랑에 불 붙어버리건만,
넌, 불타는 내 사랑에도 아무렇지도 않은 차가운 가슴을 가졌어.
난 정말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르겠어.
안녕이란 말은 정말 하고 싶지 않은데…

이 사랑이 내게는 얼마나 운이 없었는지 나도 잘 알아.
아니 거의 없었을지도…
그래도 내게 한 마디 말이라도 해준다면…

어떤 이유로도 난 너에게 퉁퉁 부어버린 내 눈을 보여주고 싶지 않아.
차라리 휴지로 눈물을 닦으면서라면,
아마도 난 어떻게 이별을 말해야 할지를 알 수도 있겠지.

너는 이미 우리가 함께했던 아름다운 밤들을 다 잊어버렸어.
그래도 나를 위해서 한 마디 변명쯤은 해줬으면 해.

어떤 이유로도 난 너에게 퉁퉁 부어버린 내 눈을 보여주고 싶지 않아.
차라리 휴지로 눈물을 닦으면서라면,
아마도 난 어떻게 이별을 말해야 할지를 알 수도 있겠지.

그래도 네게 어떻게 이별을 말하겠니..
어떻게 네게 헤어지자는 말을 할 수 있겠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