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청년배당정책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당파성이론을 중심으로

성남시 청년배당, 포퓰리즘인가? 복지의 발전인가?

성남시는 성남시에 3년 이상 주민 등록되어 있고, 실제로 거주하는 만 19세에서 24세 청년에게 1인당 분기별 25만원 이내의 배당금을 지원한다는 청년배당 정책을 발표했다. 1년에 약 100만원에 가까운 돈을 지원받는 것이다. 청년배당 정책의 핵심은 과연 이 정책이 포퓰리즘이냐, 아니냐는 것이다. 먼저, 포퓰리즘이란, 정책의 현실성이나 다양한 가치적 문제 등을 고려한 본래의 목적을 외면하고, 대중의 인기에만 매달리는 정치 행태를 일컫는다. 그렇다면, 과연 성남시의 청년배당은 포퓰리즘일까?

먼저, 포퓰리즘이라고 주장하는 측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본래의 목적을 이루기 힘들다는 것이다. 청년배당의 목적은 능력 계발을 통한 청년 취업난 극복이다. 하지만 분기별 25만원, 한 달에 8만원 남짓한 돈으로 어떻게 계발을 해서 취업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대학생의 65%가 청년실업 해결의 근본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 정책에 대해 반대하기도 했다.

다음은, 정책의 한계 문제다. 이 정책을 반대하는 측의 입장은 성남시의 재정적 한계로 인해서 정책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들다고 말한다. 청년배당은 한 개인에게 1년에 100만원 남짓한 돈을 쓰지만, 이것이 모이면 엄청난 돈이 된다. 약 600억 정도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 돈을 과연 성남시가 감당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실제로, 성남시는 아직 약 1,000억 원의 부채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반대로, 성남시의 청년배당 정책을 찬성하는 측의 입장은 다음과 같다. 처음으로, ‘청년’이라는 세대에 대한 한 줄기 희망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청년들은 가장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년실업, 무한경쟁, 3포 세대 등 다양한 문제에 치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가가 관심을 가지고, 희망의 끈을 쥐여 줄 정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은, 민주주의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청년배당 정책의 실시가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에 자양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도가 잘 정착되어서, 청년을 위해 지속될 경우, 정치형태의 발전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만약 반대로 정책이 실패한다면, 그것에 대한 보완점을 찾고, 대한민국의 청년을 위해서 새로운 정책을 연구하여 민주주의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 21세기를 살아가는 대한민국의 청년세대는 대한민국을 두고, 자조적인 의미를 띠는 “헬조선”이라는 단어를 심심치 않게 사용한다. 팍팍하고, 힘든 삶 속에서 청년들의 마음을 대변할 수 있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현재 상황 속에서, 한 지방자치단체가 청년을 위한 정책을 편다는 것. 어떻게 보면 참 좋은 일 아닐까? 물론, 진정으로 청년을 위한다면, 청년 문제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보는 것이 병행된다면 좋지 않을까.

사진 출처:중부일보
16기 이호진 기자

Abstract

This study is an exploratoryㆍdescriptiveㆍexplanatory case study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a part of
youth welfar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

This study is an exploratoryㆍdescriptiveㆍexplanatory case study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a part of
youth welfar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To
achieve this, the Systemic Advocacy Coalition Framework(SACF) of Il Jae
Kim(2013)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case study methods of Yin(2003).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 input stage. As three streams of problemsㆍpoliticsㆍpolicies
became an issue with the introduction of youth dividends, our society's existent
stream of problems met the political condition-changing politics stream both
home and aborad, and was reformed into the policies stream by Seongnam City
mayor Jaemyung Lee.
Second is the conversion stage. Initiated by experts, basic income concepts
were introduced into the youth dividend project, and it became an interaction
agent between the three streams. When the three streams were combined, the
project was set as an agenda by the Seongnam City Municipal Assembly in
November 2015. As a policy entrepreneur, Mayor Lee combined the three
streams during an important period-after the policy window opened, he strove
to act on his core beliefs.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contributed to
making youth dividend policy an agenda by cooperating with experts. During
this stage, the Universal Welfare Coalition which pursues practical libertarianism,
and the Selective Welfare Coalition which pursues neo-liberalism, disagreed and
opposed each other regarding their beliefs and interests over the policy. Small
businesses formed a coalition defending their right to existence and
enthusiastically supported the youth dividend policy. As a policy broker,
Gyeonggi Provincial Governor Gyeongpil Nam chose to defer to the Supreme
Court, divided between his position as the Saenuri Republican Party
Organization Leader and his duty to integrate Gyeonggi Province as Governor.
Third is the output stage. After the youth dividend policy regulations were
passed in the municipal assembly, Seongnam gift certificates were distributed to
all 24-year-old youth living in Seongnam for over three years, starting on
January 2016. The amount was 125,000 won each quarter, 50% of the amount
specified in the regulations.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sought
social integration of the youth generation while opting for a virtuous circulation
method, where the local economy is vitalized which leads to the stability of the
youth dividend policy.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passed on the policy while
youth put the policy into practice.
Fourth is the evaluation stage. The youth dividend policy reached a
distribution rate of 94% demonstrating the high support of the youth class. The
policy was however disputed from the start by central government branches and
Gyeonggi Province because of its procedural legitimacy. They claimed for local
subsidy reduction because the policy did not undergo prior consultation. Mayor
Lee criticized these claims, saying that such argument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Government Act, deface the local government and abuse the authority of
the Fundamental Social Security Act.
Fifth is the feedback stage. In December 2016,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was strengthened by additionally distributing 50% of reserve
funds set apart in preparation for local subsidy reduction by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it could not expand more because plans for yearly
increasing target age group variety failed. In the new streams of problemsㆍ
politicsㆍpolicies, the reinforced and preserved policy re-entered the input stage
on January 20th, 2017.
Unlike previous youth policies focused on selective welfare,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is founded on basic income which is closer to social
allowance. It is becoming a consensus as a plan to realize youth welfare as well
as universal welfare. Also, youth in danger of social exclusion are experiencing
an opportunity to realize social integration. In order for such youth dividends to
spread nationwid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must play a pivotal role.
Keywords :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 case study , basic income
, youth welfare , universal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