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대통령 선거 왜 63년

◎JP 일파/개표서 윤 앞설 경우/미 국무부 첩보공개

【워싱턴 연합】 주한미 대사관은 팽팽한 접전을 벌였던 지난 63년의 제5대 대통령 선거 당일 『개표결과 윤보선 후보가 박정희 후보를 리드하는 것으로 나타날 경우 「김종필 일파」가 두 후보를 차례로 암살할 계획을 갖고 있다』는 첩보를 입수해 이를 비밀리에 본국에 보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필 자민련 총재는 63년 1월 집권 세력내 암투 등으로 인해 중앙정보부장직에서 물러난 후 다음달 25일 「자의반 타의반」의 외유에 올라 선거 당시 미국에 체류했으며 그해 10월23일 귀국했다.

올해초 비밀 해제된 63년 10월15일자 미국무부 전문(491호)에 따르면 당시 새뮤얼 버거 주한미 대사는 딘 러스크 국무장관 앞으로 이같이 보고하면서 『이 첩보에 많은 신빙성을 부여하지 않으나 그렇다고 그 가능성을 무시하도록 건의하지는 않겠다』고 지적했다.

◎김종필씨 “와전”

자민련 김종필 총재는 23일 지난 63년 대선 때 자신이 박정희 윤보선 후보를 암살하려 했다는 미국무부 문건과 관련,『윤보선씨측이 당시 선거전략으로 흘린 흑색선전을 새뮤얼 버거 당시 주한미대사가 진위여부를 확인치 않고 그대로 보고,와전된 것』이라고 일축했다.

Ⅰ. 대통령 선거 연표

대통령선거는 48년 정부수립이후 총 9번의 헌법개정을 거치는 동안 직선제와 간선제를 오가는 제도상의 변화를 거쳤다. 제헌헌법에서 채택된 간선제는 1대, 4대, 8~12대때 실시됐고 직선제는 2~7대, 13대~16대때 실시됐다. 특히 4대때는 4·19를 전후해 선거가 직선제와 간선제로 두번 실시되는 난맥상을 보이기도 했다.
국민이 직접 뽑는 직선제와 달리 간선제는 선출 방법이 세번 바뀌었다. 1, 4대때는 국회에서 대통령을 선출했고 8~11대는 통일주체국민회의가, 12대는 대통령선거인단이 대통령을 뽑았다.

  • 5대 대통령 선거 왜 63년
  • 초대 대통령선거 : 1948.7.20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이승만

    주요내용 : 대통령 선거의 국회간선제, 1차중임, 임기4년의 내용을 담은 초대헌법이 제

    정. 광복 3년만에 제헌국회에서 초대 대통령 선거가 간선제로 실시

    선거결과 : 선거결과 180표를 얻은 이승만이 13표 획득에 그친 김구를 압도적 표차로 누

    르고 당선

    출마후보 : 기호1 이승만(대촉국), 기호2 김구(무소속), 기호3 안재홍(무소속)

    2대 대통령선거 : 1952.8.5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8.1%)

    당 선 자 : 이승만

    주요내용 : 1952년 이승만은 대통령 직선제를 요지로한 개헌안을 심야 날치기 통과.

    선거결과 : 이승만, 조봉암, 이시영 등이 후보로 나와 이승만은 74.6%의 득표율로 재선

    에 성공.

    출마후보 : 기호1 조봉암(무소속), 기호2 이승만(자유당), 기호3 이시영(무소속),

    기호4 신흥우(무소속)

    3대 대통령선거 : 1956.5.15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94.4%)

    당 선 자 : 이승만

    주요내용 : 1954년 이승만은 대통령의 연임제한을 철폐하는 4사5입 개헌을 강행

    선거결과 : 이승만과 조봉암이 후보로 나왔으며, 이승만이 70%, 조봉암이30%의 득표율

    을 얻어 이승만이 장기집권에 성공.

    기호1 조봉암(무소속), 기호2 신익희(민주당), 기호3 이승만(자유당)

    4대 대통령선거 : 1960.3.15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97.0%)

    당 선 자 : 이승만

    주요내용 : 여당(자유당)과 정부가 전국적, 조직적으로 부정선거를 감행.

    선거결과 : 이승만과 조병옥이 출마하여, 이승만이 10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나 4.19

    혁명으로 이승만 하야.

    출마후보 : 기호1 이승만(자유당), 기호2 조병욱(민주당)

  • 5대 대통령 선거 왜 63년
  • 4대 대통령선거 : 1960.8.12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윤보선

    주요내용 : 4·19이후 제2공화국 내각책임제 헌법에 따라 민·참의원 합동회의에서 간선제

    로 실시.

    선거결과 : 민주당 구파의 윤보선이 재적의원 263명중 208명의 찬성으로 대통령에 당선.

    1961년 5.16 군사정변 발생.

    출마후보 : 기호1 이승만(자유당), 기호2 조병욱(민주당)

  • 5대 대통령 선거 왜 63년
  • 5대 대통령선거 : 1963.10.15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5.0%)

    당 선 자 : 박정희

    주요내용 : 박정희 등 5·16 주체세력은 1961년12월6일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통과된 대

    통령 직선제개헌안을 국민투표에 회부, 찬성률 78.8%로 채택하고 제3공화국

    을 출범시켰다.

    선거결과 : 공화당의 박정희후보는 46.6%를 득표, 민정당의 윤보선후보 45.1% 득표

    출마후보 : 기호1 장이석(신흥당), 기호2 송요찬(자유민주당),

    기호3 박정희(민주공화당), 기호4 오재영(추풍회), 기호5 윤보선(민정당),

    기호6 허정(국민의당), 기호7 변영태(정민회)

    6대 대통령선거 : 1967.5.3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3.6%)

    당 선 자 : 박정희

    선거결과 : 박정희가 51.5%의 득표율을 얻어 40.9%를 얻은 윤보선을 이기고 재선에 성

    공.

    출마후보 : 기호1 이세진(정의당), 기호2 전진한(한국독립당), 기호3 윤보선(신민당),

    기호4 서민호(대중당), 기호5 김준연(민중당), 기호6 박정희(민주공화당),

    기호7 오재영(통한당)

    7대 대통령선거 : 1971.4.27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79.8%)

    당 선 자 : 박정희

    주요내용 : 박정희대통령은 69년 대통령의 3선연임 허용을 골자로 3선개헌으로 장기 집

    권의 토대를 마련.

    선거결과 : 박정희후보 53%의 득표율을 얻어, 45.3%의 지지를 받은 김대중 후보를 물리

    치고 당선됨.

    출마후보 : 기호1 박정희(민주공화당), 기호2 김대중(신민당), 기호3 박기출(국민당)

  • 5대 대통령 선거 왜 63년
  • 8대 대통령선거 : 1972.12.23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박정희

    선거결과 : 박정희는 1972년10월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유신 헌법

    을 제정. 12월 8대 대통령 선거에서 통일주체국민회의의 99.9%의 지지로 대

    통령에 당선.

    출마후보 : 기호1 박정희(민주공화당)

    9대 대통령선거 : 1978.7.6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박정희

    주요내용 : 박정희가 통일주체국민회의의 99.8%의 지지로 당선, 그러나 1979년 10.26사

    태로 박정희 사망.

    출마후보 : 기호1 박정희(민주공화당)

    10대 대통령선거 : 1979.12.6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최규하

    주요내용 : 통일주체국민회의는 최규하대통령 권한대행을 10대 대통령으로 선출. 그러

    나 6일 후 전두환 등 신군부에 의한 12.12 쿠데타 일어남.

    출마후보 : 기호1 최규하(무소속)

    11대 대통령선거 : 1980.8.27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전두환

    주요내용 : 정국주도권을 장악한 신군부의 전두환 국보위 상임위원장은 80년8월 통일주

    체국민회의 투표를 통해 11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출마후보 : 기호1 전두환(민주정의당)

  • 5대 대통령 선거 왜 63년
  • 12대 대통령선거 : 1981.2.25.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전두환

    주요내용 : 1980년 10월 대통령 임기 7년 단임과 간선제에 의한 대통령 선출을 골자로 하

    는 헌법개정안 공포. 미국식 대통령선거인단에 의한 선거를 모방한 12대 대

    통령 선거방식은 유신시대의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체육관선거'와 크

    게 다른점이 없다는 비난이 제기됨.

    선거결과 : 12대 대통령선거에서 전국 77개 선거구에서 실시된 '대통령선거인단' 투표결

    과 전두환 후보가 90.1%의 압도적 지지를 얻어 야당후보였던 유치송, 김종

    철, 김의택 등을 물리치고 당선.

    출마후보 : 기호1 전두환(민주정의당)

  • 5대 대통령 선거 왜 63년
  • 13대 대통령선거 : 1987.12.16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9.2%)

    당 선 자 : 노태우

    주요내용 : 1987년 '6월민주화 항쟁'과 노태우의 6·29선언으로 5년 담임의 대통령 직선제

    로 헌법개정.

    선거결과 : 여당의 노태우와 야당의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등이 출마하여 노태우 후보

    가 36.7%의 지지율로 대통령에 당선. 김영삼은 28%, 김대중은 27.1%, 김종필

    은 8.1%의 지지를 얻음.

    출마후보 : 기호1 노태우(민정당), 기호2 김영삼(민주당), 기호3 김대중(평민당),

    기호4 김종필(공화당), 기호5 홍숙자(사민당), 기호6 김선적(일민당),

    기호7 신정일(한국당), 기호8 백기완(무소속)

    14대 대통령선거 : 1992.12.18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1.9%)

    당 선 자 : 김영삼

    선거결과 :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 박찬종, 백기완 등이 출마하여 여당이었던 민주 자

    유당의 김영삼이 42.0%로 당선됨. 김대중은 33.8%, 정주영은 16.3%, 박찬종

    은 6.4%, 백기완은 1% 득표율.

    출마후보 : 기호1 김영삼(민자당), 기호2 김대중(민주당), 기호3 정주영(국민당),

    기호4 이종찬(새한국당), 기호5 박찬종(신정당), 기호6 이병호(정의당),

    기호7 김옥선(무소속), 기호8 백기완(무소속)

    15대 대통령선거 : 1997.12.18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0.7%)

    당 선 자 : 김대중

    선거결과 : 이회창, 김대중, 이인제, 권영길 등이 출마하여 야당이었던 새정치국민회의

    의 김대중이 40.3%의 지지를 얻어 당선되었다. 여당이었던 한나라당의 이회

    창은 38.7%, 이인제는 19.2%, 권영길은 1.2%의 득표율

    출마후보 : 기호1 이회창(한나라당), 기호2 김대중(국민회의), 기호3 이인제(국민신당),

    기호4 권영길(국민승리21), 기호5 허경영(공화당),

    기호6 김한식(바른정치聯), 기호7 신정일(한국당)

    16대 대통령선거 : 2002.12.19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70.8%)

    당 선 자 : 노무현

    선거결과 : 노무현, 이회창, 권영길 등이 출마하여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48.9%의 지지

    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이회창은 46.6%, 민주노동당 권영길은 3.9%를

    얻었다.

    출마후보 : 기호1 이회창(한나라당), 기호2 노무현(민주당), 기호3 이한동(하나로연합),

    기호4 권영길(민주노동당), 기호5 김영규(사회당), 기호6 김길수(호국당),

    기호7 장세동(무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