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서버 ip 받는 방법

* IP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Q. 프로토콜(Protocol)이란?

-> 프로토콜은 약속이다.인터넷이라는 체계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자기만의 규칙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약속된 규칙을 사용해야 한다.

이것을 인터넷 프로토콜(IP)라 부른다

그러면 IP를 사용하는 여러 장비들은 (인터넷에 연결되어있는 여러 컴퓨터들)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바로 그 주소를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라고 부른다.

*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2가지 방법

1) 만일 naver.com 으로 접속하는 방법은 그대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IP 주소를 직접 입력해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cmd 실행 후 ping naver.com 입력하면 IP주소(125.209.222.141) 확인 가능)

2) 도메인으로도 접속할 수 있다.

   (naver.com 직접 입력)

-> 서버쪽 컴퓨터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컴퓨터도 ip주소가 있어야 한다.

마치 전화를 거는 것, 받는 것과 동일한 방법이다.

* 도메인 네임 서버(DNS - Domain Name Server)

: IP주소의 치명적인 단점은 기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마치 우리가 누군가에게 전화할 때 모든 사람의 전화번호를 기억해서 전화하지 않듯이

IP주소도 도메인 네임이라는 것을 사용해서 좀 더 편하게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네이버의 IP주소는 다음과 같다.

naver.com -> 125.209.222.141 

우리는 이 IP를 기억해서 네이버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naver.com라고 하는 

도메인 네임을 입력해서 네이버에 접속할 수 있다.

! 사실 컴퓨터는 도메인을 통해서 서버에 접속 할 수 없다. 

   ip를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하우스라는 사람의 이름을 눌러 전화를 걸면 

밀하우스를 통해서 전화가 걸리는 것이 아니라 

밀하우스라는 사람의 번호를 통해서 전화를 거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이 DNS(Domain Name System)이다.

(IP의 이름이라고 할 수 있는 Domain Name이 동작하는 시스템)

Q. 그렇다면 DNS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만일 내가 naver.com에 접속하려 한다면,  도메인 이름은 알지만 IP주소는 모른다. 

어떻게 할까?

-> 컴퓨터에 연결되어있는 네임서버가(Name Server) 있다. 

이것도 역시 IP를 가지고 있다.(인터넷 위에서 돌아가는 서버 - 특수한 서버이다)

컴퓨터는 도메인 네임 서버의 IP를 알고있기 때문에

내 컴퓨터가 모르는 naver.com 도메인에 접속하려면 

일단 네임서버에 접속을 해서 naver.com의 IP를 물어봐야 한다.

네임 서버는 각각의 도메인을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IP주소를 요청한 컴퓨터에 보내주고 

네임 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네이버의 IP주소)를 가지고 우리는 naver.com에 접속할 수 있다.

*이 포스트는 이고잉님의 생활코딩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유플러스 공유기, DNS 설정 변경

며칠 전 유플러스 셋톱박스로 유튜브 컨텐츠를 시청하는데, 평소와 달리 버벅거리면서 속도가 나지 않는 증상이 발생했습니다.

인터넷이 완전히 끊긴 것은 아닌데, 재생 중 버퍼링이 생기면서 버벅거리더니 화질이 낮춰져 재생되는 등, 예전 유튜브 서비스 초기 국내 인터넷 환경에서 버벅거리던 느낌입니다.

수 년 간 겪지 못했던 증상이었기에 인터넷 장애가 생겼나 싶었는데, 이틀 전 특정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느라 유플러스 공유기 초기화를 했던 것이 기억났습니다.

그동안 유플러스 공유기에서 개별 설정해 사용하던 게 뭐가 있었나 생각해보니 DNS 설정 한 가지였고, 초기화된 DNS 설정을 다시 제가 사용하던 설정으로 되돌리기로 했습니다.

유플러스 공유기의 DNS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웹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에 유플러스 공유기의 주소인 192.168.219.1을 입력한 뒤,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가 뜨면 하단의 공유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공유기 관리자 화면 접속 주소는, 공유기 바닥의 스티커를 살펴보거나, 공유기에 연결된 PC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C에서 공유기 관리자 화면 접속 주소를 확인하려면 [설정]-[네트워크 및 인터넷]-[상태] 를 차례로 클릭한 뒤 [하드웨어 및 연결 속성 보기] 항목을 클릭합니다.

Dns 서버 ip 받는 방법

[하드웨어 및 연결 속성 보기] 항목에서 [기본 게이트웨이] 항목에 표시되는 주소가 인터넷 공유기의 접속 주소입니다.

위의 방법 외에도 윈도우의 명령창을 열고 ipconfig 명령을 입력했을 때, [기본 게이트웨이] 항목에 뜨는 숫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플러스 공유기에 설정된 비밀 번호와 인증 코드를 입력한 뒤,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유플러스 공유기의 비밀번호는, 역시 공유기 바닥 스티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7/09/20 - LG유플러스 기가와이파이 공유기, GAPM-7100 브릿지 모드 설정 방법

공유기 관리자 첫 화면에는 각종 정보들이 표시되며, 하단에는 DNS 서버 주소가 표시되는데 이 주소는 LG 유플러스에서 기본 제공하는 DNS 주소입니다.

DNS 주소를 직접 설정하기 위해 상단의 [네트워크 설정]-[유선 네트워크] 항목을 클릭합니다.

유선 네트워크 설정 메뉴 중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DNS 서버] 항목을 [수동]으로 설정한 뒤 기본 DNS와 보조 DNS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합니다.

다음은 여러 업체에서 운영 중인 DNS 서버 주소로, 사용하려는 DNS 서버 주소를 인터넷 공유기의 DNS 서버 주소 항목에 입력 후 [설정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DNS 서버 주소
ISP기본 DNS보조 DNS
SK 브로드밴드 219.250.36.130 210.220.163.82

KT

168.126.63.1 168.126.63.2
LG 유플러스 164.124.101.2 203.248.252.2
구글 8.8.8.8 8.8.4.4
클라우드 플래어 1.1.1.1 1.0.0.1

공유기의 DNS 서버 설정을 변경하면, 바로 공유기를 재부팅한다는 메시지가 뜨고 약 1분 뒤에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DNS 서버 주소, 변경해야 하는 이유?

DNS 서버는 숫자로 구성된 인터넷 서버를 문자로 변환해,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을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즉, 우리가 다음의 주소를 www.daum.net으로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203.133.167.81 처럼 숫자로 된 서버 주소로 운영되며, 사용자가 영문 주소를 입력했을 때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것이 DNS 서버입니다.

그러면 사용자가 DNS 서버 주소를 변경해야 하는 이유는?

DNS 서버는 사용자가 따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자동 설정되므로, 사용자가 특별히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면 건드릴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DNS 서버 주소를 잘못 입력할 경우, 아예 인터넷 접속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잘 모른다면 아예 손대지 않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다만 저는 LG 유플러스(과거 파워콤)의 기본 DNS 서버 적용시 인터넷이 버벅거린다거나,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는 등의 불편을 겪었기에 꽤 오래전부터 구글 DNS 서버 주소 8.8.8.8을 이용하곤 했습니다.

아울러 최근에는 클라우드 플래어라는 업체의 DNS 서버 반응 속도가 더 빠르다는 얘기에 1.1.1.1을 입력해 사용 중인데, 여담이지만 8.8.8.8이나 1.1.1.1은 외우기가 쉽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

PC에서 DNS 서버 변경하는 방법

앞서 공유기의 DNS 서버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살펴봤는데, 이렇게 하면 공유기에 연결된 모든 장비의 DNS 설정이 영향을 받게 됩니다.

공유기 DNS 설정 변경 대신, PC나 스마트폰의 개별 DNS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데 일단 PC의 경우,

[설정]-[네트워크 및 인터넷]-[이더넷] 항목을 열고 [어댑터 옵션 변경] 항목을 클릭합니다.

[네트워크 연결] 창이 열리고, 컴퓨터에 설치된 유/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중 연결된 항목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네트워크 어댑터의 상태창이 열리며, 여기서 [속성] 버튼을 클릭하고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4] 항목을 선택한 뒤 [속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로 선택되어 있는 항목을 [다음 IP 주소 사용]으로 바꾸고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값을 채워줍니다.

기본 게이트웨이 값은 앞서 확인한 공유기 주소 값을 입력하고, IP 주소는 기본 게이트웨이 값의 끝자리만 변경한 값을 입력합니다.

이후 기본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를 적어주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렇게 간단히 적고 보니, 역시 잘 모르거나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사용자라면 건드리지 않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스마트폰의 DNS 서버 변경

예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 별도의 앱을 설치해야 DNS 서버를 변경할 수 있었지만, 안드로이드9 이후의 스마트폰은 자체 설정을 통해 DNS 서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먼저 [설정]-[네트워크 및 인터넷] 항목으로 들어가 와이파이 항목을 터치하고

연결되어 있는 와이파이 이름을 길게 터치한 뒤 [네트워크 수정]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표시되는 와이파이 이름 하단의 [고급 설정 표시] 항목을 터치한 뒤

[DHCP]로 설정되어 있는 [IP 설정] 항목을 터치해 [고정]으로 바꾸면, IP 주소와 게이트웨이 항목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게 됩니다.

IP와 게이트웨이 주소를 각자 공유기 설정에 맞게 입력한 뒤, 아래로 내려보면 표시되는 DNS 1, DNS 2 항목에 원하는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터치하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이렇게 인터넷 공유기와 PC,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DNS 서버 설정 방법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본문에 언급한 바와 같이 DNS 서버는 통신사에서 자동으로 설정(기본 제공)되는 항목이며, 잘못 설정할 경우 인터넷 접속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필요한 경우에만 주의를 기울여 변경할 것을 권합니다.

물론 잘못 변경해 인터넷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라면, 설정에서 기본 값인 [자동 설정]으로 되돌리는 식으로 간단하게 되돌릴 수 있으니 크게 겁먹을 필요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