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요약

[독후감] `향수- 어느살인자의 이야기`를 읽고

  • 대학레포트 > 독후감/감상문 > 자료상세보기 (자료번호:189431)
  • 조회 1499

  • 2008.01.29 / 2019.12.24
  • 2페이지 /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요약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200원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추천 연관자료

  • [독후감] 파트리크쥐스킨트 `향수-어느살인자의이야기`를 읽고
  • 중학생 여름방학 독후감 쓰기 과제
  • 독서활동상황기록 기재 예시문 모음
  • [독서감상문]독후감상문모음
  • [중국관련 독후감, 독후감 모음, 독후감] 중국에 관한 독후감(서평) 모음집

목차 `향수- 어느살인자의 이야기`를 읽고 본문내용 장 바티스트 그르누이.
그를 단순히 천재, 사이코로 치부하기엔 무언가 턱없이 부족하다. 그는 괴물적인 존재다. 냄새를 맡는 데 있어서의 그의 초인적 능력은 인간으로서 감히 상상할 수도 없으며, 더욱이 그를 따라갈 자는 없다. 돌이끼, 모래, 재스민등 향의 좋고 나쁨을 떠나 이 세상의 모든 냄새는 반드시 그의 코에 포획되고, 그 냄새는 그의 머릿속에서 재구성된다. 게다가 무섭고 잔인할 정도로 그에게서는 어떠한 냄새도 나지 않는다.
소설 「향수」의 재미는 ‘향수’라는 생소한 소재와 냄새에 집착하는 사나이를 아주 치밀하게 그려 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몇몇 서평의 말을 빌리자면 이 소설은 너무나 놀라우면서도 동화 같고, 또 그러면서도 낯선 공포심을 자극한다(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독). 또한 무서움이 달콤하고 전통적인 묘사법과 우스꽝스러운 모순을 이루고 있다(디 차이트:독).

회원 추천자료

  • 감자, 괭이부리말 아이들 등 독서감상문 50편 모음
  • [도서감상문] [도서감상문]`향수-어느살인자의 이야기`를 읽고(A+리포트)
  • [독서감상문] 향수(어느살인자의 이야기)를 읽고
  • 고등학생이 쓴 독서 감상문 40개
  • (독후감상문) 고등학생이 쓴 독후감 40개

※ 4K블루레이, 3D 블루레이 재생 관련 안내
1) 4K UHD 디스크는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므로 4K전용 플레이어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더불어 플레이어 소프트웨어 최신 버전의 업데이트, 대용량 케이블 사용이 필수입니다.
2) 3D 블루레이는 전용 플레이어와 3D 지원 TV를 통해서만 재생 가능합니다.

※ 아웃케이스/구성품/포장 상태
1) 명백한 재생 불량 외에 경미한 아웃케이스 주름, 모서리 눌림, 갈라짐 등은 교환/반품 대상이 아님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2) 스틸북 케이스 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기포 혹은 경미한 인쇄 오류는 교환/반품 대상이 아닙니다.
3) 렌티큘러 스틸북의 경우, 보호필름이 붙어 판매되기도 합니다. 보호필름 손상은 교환/반품 대상이 아닙니다.
4) 본품 보호를 위해 노란색의 카톤 박스로 재포장한 경우, 카톤박스는 품질 보증 대상이 아닙니다.

※ 재생 불량
1) 기기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재생 불량 현상에 대해서는 반품/교환이 불가하니 최신 소프트웨어로 업데이트된 DVD/BD 전용 기기에서 재생하실 것을 권유해 드립니다.
2) 정전기와 먼지로 인해 재생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디스크를 마른 천으로 닦으시거나, DVD 클리너 등 전용 제품을 이용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 디스크 이상
간혹 디스크에 미세한 잔 흠집이 남아있거나 인쇄 면이 깨끗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재생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만 반품이나 교환이 가능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교환/반품 안내
1) 명백한 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 요청 시에는 불량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 혹은 동영상과 재생기기 모델명을 첨부하여 고객센터에 문의 바랍니다.
2) 스틸북, 초회한정판의 경우 제작 수량이 한정되어있고 잦은 배송 과정에서 아웃케이스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재판매가 어려우므로 오구매, 변심으로 인한 반품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신중한 구매를 부탁드립니다.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요약

파트리크 쥐스킨트,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향수 소설

그루누이라는 인물에게는 인간적인 고통이나 고뇌 등이 처음부터 빠져있다. 그루누이는 다른 모든 잣대 없이 오로지 <냄새>라는 하나의 잣대만을 가지고 세상을 판단한다. 어떤 면에서 후각에 의존한 판단은 은밀한 속임수를 그대로 드러내고, 눈속임을 없애고 모든 사물을 냄새만큼은 있는 그대로 포착한다는 면에서 공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문제는 어쩌면 사랑’, ‘윤리’, ‘등 사람들 사이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는 요소들에는 그러한 냄새가 없다는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그루누이에게 처 음 부터 이러한 것들은 중요하지 않은 것이 되어있다. 모든 판단이 유보된 채, 그루누이의 행동과 사건 자체를 중점으로 서술하고 있는 이 소설은, 그만큼 속도감 있고 쉽게 읽힌다.

무엇보다도 냄새라는 영역을 집중적으로 건드리고 있다는 점에서 이 소설은 흥미롭다. 인간의 오감 중에서 가장 무딘 영역이라는 냄새라는 영역에 주목함으로서, ‘새로운 세상을 보는 듯 하기 때문이다. 다른 감각을 배제한 채 초월적인, 초인적인 후각에 의존한 세상은 한편으로 지금까지 인식했던 세상에 비해 엄청나게 풍부하다. 우리의 시각이 닿을 수 없는 미지의 영역을 열고 상상하게끔 해주기 때문이다. 후각이 인간보다 예민한 짐승들이 느끼는 세상은 이러한 걸까, 하는 생각이 소설을 읽는 중간에 가끔 들었다. (예를 들어 보지 않고도 건너방에 사람 두명이 있다는 것을 냄새로 안다거나)

그리고 이 소설이 더욱 흥미로운 것은 그러한 후각의 영역을 감정과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인간이 감정을 느끼는 원인냄새에 있다고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진실인지는 별도로 치더라도, 이로 인해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후각의 영역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충분히 의미 있는 설정이었다고 생각한다.

이 소설에서 그루누이의 갈등은 숙명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애초부터 스스로는 냄새가 없이 태어났으며, 천부적인 후각을 가지고 세상에 나왔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그루누이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잔혹한 살인자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살인자의 잣대를 대기에는 조금 조심스럽다. 왜냐하면 그는 살인이 잔인한 행동이라는 의식도 없을 정도로, ‘사람들의 심리 자체를 근원적으로 이해하지 못하는 인물로 그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루누이가 바라보는 세계는 <후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가 바라보는 세계는 사람들이 바라보는 세계와 많이 다를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루누이의 초후각은, 그루누이가 사람들을 경멸하는 이유인 동시에, 그들의 세계에 결코 끼어들 수 없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에게 삶의 의미로서 남은 숙명은 오직 향기의 세계에 혁명을 일으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목적을 이룬 이후에도 그 업적을 이해하는 자는 아무도 없기에 한편으로는 그 의미를 잃는다. 그가 만든 향수에 대한 사람들의 열광을 그루누이 자신은 이해하기 힘들고, 반대로 사람들 역시 그루누이의 향수의 훌륭함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냄새로 만들어진 자신만의 완벽한 세계 안에서 홀로 살아가는 것이 어쩌면 그루누이에게 가장 행복한 일이었는지도 모르지만, 그렇게 살아가는 것 역시 불가능하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냄새의 세계에 자신의 냄새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결국 사람들의 영역 속에도, 자신이 바라보는 냄새의 영역에도 속하지 못하는 숙명적으로 고독한 존재로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점에서 소설을 읽을수록 살인자인 그루누이에게 연민의 감정이 함께 일어나는 것도 사실이다. 살인자에게 느끼는 연민과 동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그루누이는 세상과 유리된 고독한 천재인가. 아니면 자신의 세계 속에 빠져든 광기어린 살인자인가.

소설을 읽으면서 의문점 중 하나는 왜 가장 아름다운 냄새를 소녀에서 성인으로 가는 단계에 있는, 처녀성을 여성의 냄새로 설정했을까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그 여성들은 또 왜 모두 아름다운 외모로 표현될까 하는 점도 의문이었다. ‘냄새를 통해 바라보아도, 결국 눈에 보이기에 예쁜 것이 냄새도 좋은 것이라는 것일까? 아니면 좋은 냄새를 가지고 있는 것은 우리 눈에 아름답게 비친다는 것일까?

향수 영화

<향수>의 영화화가 힘들었을 것 같은 이유는 이 소설이 다루고 있는 영역이 바로 눈에 보이지 않는 냄새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영화는 결국 그것을 음향이나 시각적인 요소로 바꾸어서 표현해야 하는데, 역시 소설의 묘사를 읽고 상상하는 것과 카메라 앵글의 제한된 화면을 통해 바라보는 것과는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소설을 영화화 했을 때, ‘원작에 얼마나 충실 했는가가 꼭 영화의 훌륭함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원작을 먼저 읽은 독자들의 경우라면 자연히 영화에서 원작의 느낌을 기대하기 마련이고, 원작과 많이 다를 경우 괴리감을 느끼게 되는 것도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영화를 보면서 가장 먼저 느꼈던 괴리감은 그루누이가 잘생겼다는데서 오는 괴리감이었다. 게다가 그루누이의 마음 깊은 곳에 깔려 있는 인간에 대한 경멸 역시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것 같아서 더욱 그랬다. 오히려 눈물을 흘리는, 인간적인 면이 부각된 인물은 소설의 그와 꽤 다르게 느껴졌다. 그루누이의 생각을 서술을 통해서 속속들이 알 수 있는 소설과 달리, 영화에서는 그루누이의 행동이나 표정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그의 생각을 읽어야 하는데, 좀 막연한 부분이 있었다. 소설의 내용을 생각하며 그의 행동의 원인을 끼워 맞추어야 했다.

그리고 첫 번째 살인에서 여성의 얼굴을 보여준 것도 달갑지는 않다. 여성이 돌아보는 순간 놀라는 그루누이의 모습에서, 그가 여성의 오직 향기에 반했다기 보다 외모에도 반한 듯한 인상을 주었기 때문이다. 그 여성의 모습을 계속 반복해서 떠올리는 것으로 더욱 그랬다. ‘무형의 향기를 무엇으로 표현해야 좋을지는 모르겠지만, 그 사물 자체를 보여주면서 향기를 상상하게 하는 데는 역시 조금 무리가 있지 않은가 싶다. 아니, 향기를 떠올리면 모습이 함께 떠오르고, 모습만 봐도 향기를 떠올릴 수 있다는 그루누의의 능력 상 사실 형태도 향기와 떨어지지는 않는 것일까?

악취가 아닌 좋은 향기를 표현해내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새삼 느낀다. 여성의 몸을 샅샅이 들이킬 때도, 내 머릿속에 떠오르는건 좋은 향기가 아니라 시체냄새가 나지는 않을까?’였으니까.

방대한 분량의 책에서, 어떤 부분을 어떻게 추려서 효과적으로 보여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