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http://www.escinfo.com/technote/read.cgi?board=chem_3&y_number=2&nnew=2

III-1. 화학 결합의 종류  

1. 이온 결합

2. 공유 결합

3. 금속 결합

(1) 이온 결합의 형성 (1) 공유 결합의 형성 (1) 금속 결합의 형성
(2) 이온결정의 구조 (2) 공유 결합의 표시 (2) 금속의 특성
(3) 이온반지름 (3) 공유 결합의 수  
(4) 이온결합 물질의 성질  (4) 배위 결합  
  (5) 공유 결합 반지름  

1. 이온 결합

(1) 이온 결합의 형성

가. 이온의 형성

: 이온화 에너지가 작은 금속 원자와 전자 친화도가 큰 비금속 원자가 만나면 각각의 원자는 전자를 잃거나 받아 양이온과 음이온을 형성하면서 18족 전자 배치와 같게 되므로 안정한 전자 배치를 이룬다.

양이온이 되기 쉬운 원소 : 금속 원자들이 전자를 잃고 옥텟(octet)을 이루며 양이온 형성

㉠ 원자가전자 수가 적은 원소 ▷ 1, 2, 13 족 원소
㉡ 양성 원소(금속성이 강한 원소)
㉢ 이온화 에너지의 값이 작은 원소

음이온이 되기 쉬운 원소 : 비금속 원자들이 전자를 얻어 옥텟(octet)을 이루며 음이온 형성

㉠ 원자가전자 수가 6, 7인 원소 ▷ 16, 17 족 원소
㉡ 음성 원소(비금속성이 강한 원소)
㉢ 전자 친화도가 큰 원소

Na+ 과 Cl-의 형성 : 나트륨 원자와 염소 원자가 만나면 11Na에서 전자 1개가 17Cl로 이동하여 나트륨 이온(Na+= Ne의 전자배치)과 염화 이온(Cl-=Ar의 전자 배치)을 형성한다.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나. 이온 결합의 형성

이온 결합 : 양이온이 되기 쉬운 금속 원자와 음이온이 되기 쉬운 비금속 원자가 전자를 주고 받아 각각 양이온과 음이온이 될 때, 두 이온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인력(=쿨롱의 힘)에 의한 결합

쿨롱의 힘: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힘.인력과 반발력이 있으며, 힘의 세기는 두 이온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두 이온의 전하량의 곱에 비례한다.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이온 결합과 평형 거리 : 두 이온들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과 전자 껍질의 겹침에 의한 반발력이 균형을 이루어 이온 결합이 형성된 안정한 상태의 거리.
    (예) Na+Cl-의 평형 거리= 0.236 nm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이온결합 형성에 따른 에너지의 변화

이온 결합 화합물

▷1족과 17족 : NaCl, KF, NaBr, LiCl, KI, NaI
▷2족과 17족 : CaCl2, MgF2, CaBr2, MgI2, BeCl2
▷1족과 16족 : Na2O, K2O, Na2S, K2S
▷2족과 16족 : CaS, MgS, CaO, MgO
▷기타 : Al2O3, FeCl3, Na2SO4, ZnCl2, Fe(OH)3

다. 이온 결합의 형성과 에너지

Na+Cl-이 형성될 때의 에너지 관계

1 단계 : 금속 나트륨과 염소 분자가 원자 상태로 되는 단계(에너지 흡수)
     (상태변화 에너지)
     (결합에너지)
2 단계 : 이온화 단계
     (이온화 에너지)
     (전자 친화도)
3 단계 : 결합 단계
     (이온 결합 에너지)

NaCl의 격자 에너지 : 각 이온들이 서로 이온 결합을 하여 결정이 될 때 방출되는 에너지

                     E (격자에너지) = 774kJ/몰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거리와 에너지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a) 멀리 떨어진 양이온과 음이온이 점점 가까워질수록 인력도 점점 증가한다.
(b) 평형 거리(re)에 오면 에너지가 극소점에 해당하는 -586kJ(-140 kcal)가 되어 가장 안정하게 된다.
(c) 두 이온이 너무 가까워지면 전자 껍질이 겹치게 되고, 강한 반발력으로 에너지가 높아져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 (b) 위치에서 안정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Na+(g), Cl-(g)이 586kJ(140 kcal)의 열을 방출하고 Na+Cl-(g)이 되고, 이때 결합 길이는 0.236 nm가 된다.


(2) 이온 결정의 구조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가. NaCl 걸정 구조

① Na+은 6개의 Cl-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각 Cl-은 6개의 Na+로 둘러 싸여 있다.
② Na+ : Cl- = 1:1 의 비로 되어 있는 면심 입방 구조.
③ 같은 구조의 결정 : LiF, NaBr, KBr, AgCl, CaO, MgO

나. CsCl 결정 구조

① 정육면체 중심에 Cs+ 가 높여 있고, 각 꼭지점에 8개의 Cl- 이 놓여 있다.
② Cs+ : Cl- = 1:1 의 비로 되어 있는 체심 입방 구조.

다. MgCl2 결정 구조

Mg2+ : Cl- = 1 : 2로 되어 있고 그 구조는 복잡하다.


(3) 이온 반지름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가. 이온 반지름

① 같은 족 :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자 껍질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온 반지름이 증가한다.
② 같은 주기 : 전하의 종류가 같으면,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이온 반지름은 감소한다.
   ∵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자 껍질의 수의 증가 없이 원자핵의 양전하가 커지기 때문에
      예) Na+ 반지름 > Mg2+ 반지름, O2- 반지름 > F- 반지름
③ 등전자 이온의 반지름: 전자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클수록 이온 반지름이 감소한다.
   ∵ 원자핵의 양성자수가 증가하므로

나. 이온 반지름과 원자 반지름

금속 원소: 금속 원소는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될 때 원자핵의 전하는 같으나 전자수가 감소하면서 전자 껍질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온 반지름이 작아진다.
                         11Na(K2L8M) ---> Na+(K2L8)
   금속 원소  :       원자 반지름   >    이온 반지름
② 비금속 원소 : 비금속 원소는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될 때 원자핵의 전하는 같으나 전자수가 증가하여 전자끼리의 반발력 증가로 이온 반지름이 커진다.
                         17Cl(K2L8M7) ---> Cl-(K2L8M8)
   비금속 원소 :     원자 반지름  <    이온 반지름


(4) 이온 결합성 물질의 성질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가. 녹는점과 끓는점

① 이온의 전하가 클수록 결합력이 증가하여 녹는점과 끓는점이 높아진다
       (예) MgO > Na2O
② 이온간의 거리가 짧을수록 결합력이 증가하여 녹는점과 끓는점이 높아진다.
       (예) NaF>NaCl>NaBr, LiCl>NaCl>KCl

나. 전기 전도성

① 고체(결정) 상태 : 전기 부도체  ∵결정 중의 이온이 다른 이온들로 둘러 싸여 있어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
② 용융 상태나 수용액 : 전기 양도체 ∵이온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

다. 물에 대한 용해성

대부분의 이온 결정은 극성 용매(물)에 잘 녹으며, 물에 녹을 때는 수화된 이온을 잘 만든다.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라. 이온 결정의 부스러짐

① 이온 결정은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쿨롱 인력이 강하여 단단하다.
② 이온 결정에 큰 힘을 주면 부스러진다. 이온층이 밀려 같은 전하를 띤 이온들이 서로 반발하기 때문에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2. 공유 결합

(1) 공유 결합의 형성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가. 공유 결합

정의 : 원자가전자가 비슷 원자들 사이에서는 전자를 주거나 얻어서 이온이 되기 어려우므로 각각 전자를 내 놓아서 전자쌍을 만들고 이 전자쌍을 공유하여 안정한 전자 배치를 이루는 결합.
공유 결합의 형성의 예
    ㉠ 비금속의 홑원소 물질 : H2, O2, N2, F2 등
    ㉡ 서로 다른 비금속 원소 사이 : 염화수소(HCl), H2O 등
    ㉢ 탄소 화합물 : 메탄(CH4), 아세칠렌(C2H2) 등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나. 공유 결합 에너지

① 두 원자가 공유 결합을 형성하여 안정해지면서 방출하는 에너지
② 공유 결합 1몰을 끊어서 원자 상태로 만드는 데 필요한 에너지
     (예) H(g)+H(g) → H2(g)+435kJ/몰 (공유 결합 에너지)
            H2(g)+435kJ/몰 → H(g)+H(g) (공유 결합 에너지)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해석) 위 그림은 두 수소 원자간에 작용하는 총 에너지를 핵간 거리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에너지 곡선의 극소점에 해당하는 핵간 거리는 0.074nm인데 이 지점에서 작용하는 힘들이 균형을 이루어 안정한 분자가 형성된다.


(2) 공유 결합의 표시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가. 전자점식(루이스 전자식)

① 원소 기호에 원자가전자를 점으로 표시하여 나타낸 식. 1개식 있는 전자를 홀전자, 2개가 쌍을 이룬 경우를 전자쌍이라고 한다.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② 공유 전자쌍 : 양쪽 원자가 서로 공유한 전자쌍.
③ 비공유 전자쌍 : 결합에 참여하지 않아 공유되지 않은 전자쌍.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염소 한분자 속에 공유 전자쌍은 1개, 비공유 전자쌍은 6개 존재)

나. 구조식 : 전자식에서 공유 전자쌍을 결합선 '―'로 나타낸 식으로 결합선의 수는 공유 전자쌍을 나타낸다.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다. 옥텟 규칙

① 원자들이 이온이 되거나, 화학 결합을 형성할 때 최외각에 8개의 전자를 가지려는 경향(예외 Be, B)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② 전자점식과 옥텟 규칙의 한계
  ㉠ 전자점식과 분자 모양 : 전자점식은 분자의 모양을 정확히 표시하는데 적당하지 못하다. --> 단점보완 : 모양을 비슷하게 그려준다.
      (예) H2O의 전자점식은 H:O:H(직선형)이다. 실제 분자 모양은 굽은 모양이므로 비슷하게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로 표시한다.

   ㉡ 옥텟을 벗어난 경우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O2의 경우 : 산소 분자가 2개의 홀전자를 가지고 이중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 전자점식의 표시로는 불가능 (▶분자 오비탈로 설명 가능)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3) 공유 결합의 수          

가. 다중 결합 : 원자와 원자 사이에 공유 결합 수가 2개 이상인 결합

단일 결합 : 두 원자가 1개의 전자쌍을 공유한 결합.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이중결합과 삼중결합: 두 원자가 전자쌍 2개 또는 3개를 공유한 결합.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나. 다중 결합이 나타내는 특성

결합력 : 다중 결합일수록 결합력(=결합에너지)이 커진다.
    단일 결합 < 이중 결합 < 삼중 결합
결합 길이 : 다중 결합일수록 결합 길이가 짧아진다. 결합을 이루는 두 원자핵들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강한 결합이다.

분자

구조식

결합방식

결합에너지(kJ/몰)

결합 길이(nm)

F2

F-F

단일 결합

154.4

0.143

O2

O=O

이중 결합

493.7

0.121

N2

N≡N

삼중 결합

 941.4

0.109

(4) 배위 결합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가. 배위 결합

정의 : 비공유 전자쌍을 가진 원자가 다른 이온이나 원자들에게 이를 제공하여 공유 결합이 형성되는 결합 ☞ 모든 배위 결합 물질에는 항상 공유결합이 들어있다.
양이온과 비공유 전자쌍을 가진 분자나 원자단 사이의 결합 : 물 분자, 또는 암모니아 분자가 가진 비공유 전자쌍을 수소 이온(H+)에게 일방적으로 제공하여 전자를 공유함.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③ 옥텟을 이루지 못한 분자와 비공유 전자쌍을 가진 물질 사이의 결합
   (예) 삼플루오르화붕소암모늄(H3NBF3)의 형성 : 암모니아 분자의 질소 원자가 가진 비공유 전자쌍을삼플루오르화붕소의 붕소 원자에게 일방적으로 제공하여 공유한다.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④ 금속 이온에 리간드가 배위된 착이온 : 사암민구리(Ⅱ) 이온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⑤ 분자내에 배위 결합을 가진 물질 : 질산(HNO3), 황산(H2SO4), 이산화황(SO2), 일산화탄소(CO), 오존(O3) 등


(5) 공유 결합 반지름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가. 단일 결합 반지름

: 같은 종류의 원자가 공유 결합을 이루고 있을 때, 두 원자핵들 사이의 거리(결합 길이)의 반을 말한다.

① 단일 결합으로 이루어진 2원자 분자 : 결합 길이의 반 (H2, F2, Cl2   등)
   (예) H2 :  H - H 의 결합 길이=0.074nm ☞ H의 공유 결합 반지름 = 0.074 nm × 1/2 = 0.037 nm
② 단일 결합으로 이루어진 2원자 분자를 형성하지 않는 원자들의 단일 결합 반지름은 단일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결합 길이로부터 구한다.
   ㉠ 다이아몬드의 결합 길이 : 0.154nm
       ∴ 탄소의 단일 결합 반지름 = 0.154 × 1/2 = 0.077nm
   ㉡ 질소의 단일 결합 반지름 : 히드라진(H2N-NH2)로부터구한다. (0.075nm)
   ㉢ 산소의 단일 결합 반지름 : 과산화수소(HO-OH)로부터 구한다.(0.073nm)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나. 다중 결합 반지름

① O2(O=O), N2(N≡) 처럼 이중 결합, 삼중 결합을 갖는 2원자 분자의 결합 길이의 반이 이중 결합, 삼중 결합의 반지름이 된다.
② 탄소 원자 사이의 이중 결합 반지름은 H2C=CH2(에텐), 삼중 결합 반지름은 HC≡CH(에틴)의 결합 길로로부터 구한다.
  (예) H2C=CH2(에텐)의 결합 길이 : 0.134 nm
       ==> ∴ 탄소의 이중 결합 반지름 : 0.134×1/2=0.067 nm
③ 일반적인 같은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에서 결합 길이 : 단일 결합 > 이중 결합 > 삼중 결합

(6) 공유 결합 물질의 성질

가. 공유 결합 물질의 특성

① 공유 결합은 비금속 원소의 홑원소 물질, 서로 다른 비금속 원소 사이, 탄소 화합물에서 형성된다.
② 공유 결합 물질은 원자 사이의 결합력은 강하나, 분자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므로 녹는점, 끓는점이 낮다.
③ 분자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고체, 액체 모두 전기 전도성이 없다.
④ 화학 반응에서 원자간 공유 결합이 끓어져야 하므로 반응속도가 느리다.

나. 분자 결정

: 분자들 사이에 아주 약한 분자간의 인력(=반 데르 발스 힘)이 작용한 분자가 결정의 단위인 결정(공유결합).

① 결정 단위는 분자.
② 분자간의 인력이 약하므로 결정이 쉽게 부서지고, 대부분 녹는점이나 끓는점이 낮고, 전기 전도성이 없다.
③ 상온에서 승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 많다.
④ 분자결정의 예: 요오드(I2), 나프탈렌(C10H8), 황(S8), 네온(Ne), 산소(O2), 드라이 아이스(고체CO2), 염소(Cl2), 대부분의 탄소 화합물 등

다. 공유 결정

: 물질내의 많은 원자들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어 그물구조를 형성한 결정.

① 결정을 이루는 모든 원자들이 공유 결합으로 그물처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분자처럼 볼 수 있다.
② 매우 단단하고 휘발성이 없으며, 끓는점 또는 녹는점이 매우 (높다). (∵ 그물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③ 대부분 전기 부도체이나 흑연은 예외이다.
④ 원자 결정의 예: 다이아몬드(C), 흑연(C), 이산화규소(SiO2) 등


3. 금속 결합

(1) 금속 결합의 형성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가. 금속 결합

: 금속 원자가 원자가전자를 내놓고 양이온으로 되어 안정하게 되고, 원자로부터 떨어져 나온 원자가전자가 (자유 전자)가 되어 양이온 사이에 고르게 공유되어 있는 상태.

나. 자유전자

① 자유전자 수: 금속 원자의 원자가전자수와 같다.
    예) Na : 1개, Mg : 2개, Al : 3개
② 자유전자 수가 많을수록 금속결합력은 강해진다.
    예)녹는점의 크기 : Na ③ 금속의 특성을 나타내는 열.전기의 양도체, 전성(뽑힘성), 연성(퍼짐성), 특유의 빛깔(금속 광택) 등은자유 전자와 관계있다.
④ 금속 결합의 본질: 금속 원자가 원자가전자를 내놓고 양이온이 되면 금속의 양이온은 고정된 위치에서 양이온 상태로 있고, 내놓는 자가전자는 금속의 양이온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전자 바다를 이루고 있는 결합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다. 금속 결합의 결합력

㉠ 방향성이 없고, 이온결합이나 공유결합보다 결합력이 약함.
㉡ 금속의 결합력은 자유전자 수가 많을수록, 금속 원자 반지름이 작을수록 (강해진다).
    (예1) 녹는점의 크기: Li>Na>K  (∵자유전자 수는 같으나 반지름이 작기 때문)
    (예2) 녹는점의 크기: Na


(2) 금속의 특성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가. 상태

: 상온에서 대부분 고체(단, Hg만 액체)이며, 금속 광택(대부분 은백색 광택)을 냄

① 결정 구조 : 체심 입방, 육방 밀집, 면심 입방의 구조
② 대부분 녹는점이 높고, 비중이 크다.

나. 전기.열 양도체

① 전기 양도체 : 고체, 액체 등 어떤 상태에서도 자유 전자가 자유로이 전하를 운반
② 열 전도성 : 운동에너지가 큰 자유 전자가 작은 전자에게 열 전도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다. 뽐힘성과 퍼짐성

: 금속에 힘을 주면 자유 전자들도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떨어져 나가지 않고 미끄러져, 길게 뽑거나 넓게 펼 수 있다.
  

극성 공유결합을 하면 왜 핵간 거리가 짧아지나요

라. 합  금

: 두 가지 이상의 금속이 섞여 있는 물질.

① 금속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예) 순수한 금(단점: 너무 무르다)과 구리의 합금을 이용한 장신구, 철에 1%정도의 탄소와 니켈, 또는 망간 등을 소량씩 섞어 만든 강철 등
② 녹는점을 낮출 수 있다. 예) 납과 주석을 섞어 녹는점을 낮춘 땜납
③ 산화를 느리게 할 수 있다.
    예) 철에 소량의 탄소와 크롬, 니켈 등을 섞어서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스테인레스스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