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습도가 높으면 더위를 더 잘느끼는 가

불안장애ㆍ심혈관질환자 유의, “더위 수능도 높여야”

연일 무더위로 불쾌지수도 높아지고 있다. 적절한 운동, 수분 보충 등으로 몸이 더위에 적응하도록 해야 불쾌지수를 낮출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무더위가 연일 이어지면서 ‘불쾌지수’도 덩달아 치솟고 있다. 불쾌지수는 날씨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불쾌감 정도를 기온과 습도를 조합한 수치다. 불쾌지수가 75이상이면 50%의 사람이, 80이상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낀다.

날이 더워지면 왜 불쾌감을 호소할까. 우선 체온조절기능 감소가 꼽힌다. 몸은 고온에서 체열을 발산하고 땀을 분비해 체온을 유지하는데 온도와 습도가 상승하면 발한기능이 떨어져 땀이 마르지 않아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윤진희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인체는 교감신경을 통해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더위가 기승을 부리면 교감신경이 향진돼 짜증, 불안, 초조 등 증상이 발생 한다”고 말했다. 김병성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기온은 물론이고 습도가 높아지면 땀이 나도 증발이 잘 되지 않아 체온이 떨어지지 않아 짜증과 함께 스트레스가 동반된다”고 말했다.

찜통더위 기간에는 불쾌지수가 상승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쾌감을 호소하지만 특히, 불안장애 등을 앓고 있는 이들은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인보다 고온 다습한 날씨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최수희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불안장애를 앓고 있는 이들은 고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되면 불안, 긴장도가 상승해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심하면 숨을 제대로 쉬고 있는지 걱정할 정도로 무더위에 취약하다”고 말했다.

알코올중독자, 심혈관질환자 등도 무더위에 취약하다. 윤 교수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 이들 환자가 노출되면 탈수로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8월 말까지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기승일 것으로 예보되고 있다. 불쾌지수를 낮추는 방법은 없을까. 더위를 참고 이기는 수능도를 높여야 한다. 김정현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불쾌지수는 여름철 발생하는 외적 스트레스”라면서 “에어컨 등 냉방기 사용을 가급적 삼가고 적절한 운동, 수분보충 등을 통해 몸이 더위에 적응토록 해야 불쾌지수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부교감신경을 항진시키기 위해 호흡 이완요법 등을 시도하는 것이 도움될 것”이라면서 “습도와 체온을 낮추기 위해 자주 환기를 시키고 간단하게 샤워를 하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김치중 의학전문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Q _ 인간의 체온은 36.5도 입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체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위를 느끼나요?

    (※여기서 사용된 모든 그림 및 사진은 제가 직접 그리거나 촬영한 것으로 저작권이 있습니다.

    함부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사람의 체온은 36.5도 입니다.

    물론 언제나 36.5도 라는 말이 아니라 평균적으로 36.5도인 것이죠.

    (만일 매시간 변화없이 36.5도를 유지한다면 그건 죽어있는 거겠죠?)

    사람은 신진대사활동이 36.5도에 맞춰 진화했기 때문에

    대사활동으로 생성된 열에너지를 끊임없이 외부로 방출하여

    36.5도를 유지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차갑다 혹은 따뜻하다고 느끼는 것은 상대적인 감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15도의 물에 손을 담갔을 때 '시원하다'고 느끼는 것은 체온인 36.5도보다 낮기 때문이며

    그 후 30도의 물에 손을 담갔을 때 일시적으로 '따뜻하다'고 느끼는 것은

    이전 온도인 15도 보다 높기 때문이고,

    한참 뒤에는 30도의 물을 '미지근하다'고 느끼게 됩니다.

    이는 체온인 36.5도보다 상대적으로 시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체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30도에서 더위를 느낄까요?

    위의 설명과 같다면

    우리는 30도에서도 똑같이 "살만하다"고 느껴야 하는 것 아닐까요?

    그 이유는 우리 몸의 신진대사 활동에 있습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음식을 먹습니다.

    우리가 먹은 음식은 내장에서 소화가 되어 '열'을 방출합니다.

    이 열로 인해 신체 내부는 곧 따뜻하게 데워지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 몸의 효소 및 신진대사 활동은

    36.5도에 걸맞게 진화되었습니다.

    36.5도보다 1도 이상 높아진다면

    우리의 효소는 변형되고,

    더이상 신진대사 활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37도 이상이면 아파 쓰러지고

    39도 이상이면 죽을수도 있지요.

    하지만 우리 신체에서 하는 모든 활동은

    열을 동반합니다.

    몸을 움직여 운동을 하면 열이 나고 몸이 뜨거워지죠?

    신체 내부 활동도 똑같습니다.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신진대사 활동(쉬운 예를 들자면 소화)을 하면

    열이 나고 주변의 내장이 뜨거워집니다.

    이 열을 제대로 식혀주지 않는다면

    우리 신체 내부는 뜨거워지고,

    결국 36.5도를 적절히 유지하지 못하고

    신체 온도가 상승하겠지요.

    하지만 그렇게 된다면 그것은 결국 죽음으로 이어지겠죠?

    살기위해 한 대사활동으로 만들어진 열이 우리를 죽음으로 몰고 가면...

    그만큼 끔찍한 일도 없겠죠.

    그래서 우리 신체는 그 열을 식히기 위한 도구로

    땀을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열을 식히기 위해 땀을 '개발'한 것이 아니라,

    땀을 내지 못해 열을 식히지 못한 개체들이 살아남지 못해 사라졌고

    땀을 낼 수 있었던 개체들이 체온을 유지할 수 있어 살아남았다고 볼 수 있겠죠?

    혹, 진화의 내용을 오해하실까봐 덧붙였습니다.)

    혹 비닐장갑을 장시간 착용해 보셨나요?

    비닐장갑을 장시간 착용하시면 굉장히 찝찝한 경험을 하게 될 겁니다.

    (장시간이라고 해봤자 몇십분)
    비닐장갑 내부가 온통 땀으로 젖게 되거든요.

    분명 더웠던 것도 아닌데 말이죠.

    이렇게 신체에서 계속 방출된 땀은

    공기중에 기체로 날라가

    우리 신체의 열을 방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물을 끓이면 수증기로 기화합니다. 즉, 액체가 기체가 되기 위해서는 열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땀은 그 열에너지를 우리 신체에서 얻어 기체로 날라갑니다.

    땀이 사용한 열에너지 만큼 우리 몸의 열에너지가 작아지는 것이죠.)

    이말은

    땀이 제대로 기화하지 못한다면,

    그리고 땀이 기화할 때 쓰는 열에너지가 신체의 열에너지가 아니라면

    우리의 신체는 열을 제대로 방출할 수 없게 된다는 말이 되겠죠?

    이와 같은 원리로 우리는 체온보다 낮은 온도지만

    30도 가까이에서 더위를 느끼는 것입니다.

    외부의 온도가 30도라면 일단 외부가 가진 열에너지가 우리 신체와 비슷합니다.

    즉 땀이 기화하더라도 사용되는 신체의 열에너지의 비율이

    아무래도 외부온도가 체온보다 현저하게 낮을때 보다 적어질 수 밖에 없겠죠?

    즉 외부 기온이 높을 수록(체온과 비슷해질수록)

    땀의 기화열에 의한 체온 감소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외부온도가 체온보다 낮아도 우리 몸의 체온이 기존보다 높아지게 되어

    우리의 신경계는 덥다고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더울 때 땀이 평소보다 많이 나는 것도

    최대한 많은 땀을 방출해

    최대한 체온을 낮추어보려는 우리 신체의 방어활동인 것이죠.

    평소보다 습도가 높은 날 더 덥다고 느끼는 것도 비슷한 이유입니다.

    습도가 높으면 땀이 아무래도 기화하기 어려워지겠죠.

    그럼 안그래도 기화열에 사용되는 신체의 열에너지 비율이 작아져 체온 감소율도 작은데

    땀이 제대로 기화되지도 않으니

    신체의 열에너지가 정상적으로 방출될 수 없지요.

    그래서 우리몸은 더 더위를 느끼는 겁니다.

    바람이 불면 시원하다고 느끼는 것도 마찬가지 입니다.

    바람이 불면 땀이 아무래도 더 쉽게 증발하게 됩니다.

    땀이 증발하는데 사용하는 열에너지는 비슷한데

    증발 속도가 빨라지면 아무래도 더 쉽게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겠죠?

    따라서 바람이 불면 시원하다고 느끼는 겁니다.

    같은 이유로 비슷한 온도인 30도의 사막은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땀의 증발이 매우 잘 일어납니다.

    그래서 30도의 건조한 사막에서는 신체는 덥다고 잘 인식하지 못합니다.

    A. 30도의 기온에서 덥다고 느끼는 것은 땀에 의한 체온 감소 효과가 적어져 체온이 평소보다 높아지기 때문이다.

     습도가 높으면 왜 쉽게 불쾌하다고 느낄까?

    보통 사람들은 기온을 보고 그날 그날의 기후를 인식하는 편입니다. 그러다가 여름이 다가오면 올수록 조금씩 습도 쪽에도 눈길을 주게 되죠. 기온만큼은 아니지만 습도 역시 불쾌지수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여름철 기온이 그렇게 높지 않더라도 습도가 높으면 실제 기온보다 체감 온도가 훨씬 더 높아지고 마니까요. 흥미로운 점은 기온이 그리 덥지 않으면 다소 습도가 높더라도 쉽게 덥다고 여기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반대로 기온이 높다면 습도는 체감온도를 상승시키는 주범 역할을 하죠. 

    우리 몸은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체내의 온도는 약 37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다만 우리 몸의 각 세포들은 매일매일 움직이고 있을 뿐더러 신체 대사활동으로 인해 여분의 열이 항상 발생하는 상태이기에, 기본적으로 열을 방출하고 싶어합니다. 보통 주위 기온이 피부온도보다 낮다면 대류현상으로 해결되겠지만, 기온이 피부온도인 32도에 가까워지게 되면 우리는 다른 대안을 찾게 됩니다. 바로 땀이죠. 우리 몸은 피부에 땀을 흘린 후 이를 증발시켜서 온도를 낮추게 됩니다만, 문제는 공기 중에 습도가 너무 높다면 증발하는 속도가 더뎌지고 맙니다. 그런 경우, 땀이 증발하기 어려워지므로 같은 기온이라도 습도가 높은 쪽이 압도적으로 불쾌하다고 느껴지는 것이죠.

    왜 체온 36.5℃는 괜찮고, 기온 36℃는 더울까?

     왜 체온 36.5℃는 괜찮고, 기온 36℃는 더울까? 여름이 다가오면 올수록 사람들은 하루하루의 기온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날이 더워지면 일단 두뇌회전 속도가 떨어지는 데다 땀도

    exidb.tistory.com

    에어컨 냉방 25℃와 난방 25℃는 왜 같은 온도가 되지 않을까?

    분명 에어컨에는 설정 온도란 것이 존재하고, 실내 온도가 이 설정 온도에 도달할때까지 에어컨이 움직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외부기온 35℃를 웃도는 무더운 여름철이라면, 

    exidb.tistory.com

    더위에 강한 사람과 약한 사람은 뭐가 다를까?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지구의 온도는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상기후도 심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여름은 매년 최고기온이 갱신되고 있을 정도인데, 우리 주위를 둘러보

    exidb.tistory.com

    더우면 왜 두뇌회전이 잘 안될까?

    너무 덥거나, 반대로 너무 추우면 두뇌 회전이 느려집니다. 직관적으로 생각해보면 우리 몸을 움직이는 에너지인 포도당을, 최우선적으로 체온을 낮추거나 높이는데 쓰는 반면, 

    exidb.tistory.com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