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왜 삶이 아니란 말인가


 2011�� 2�� �߼� ��� �� �̷��� ��Ƽ��� �� �ǰڴٰ�, �հ��̶�� ������� �����ϴ� ���� ���߾�߰ڴٴ� ������ �����ϴ� å���� �˴ٹ��ȴ�. �׸��� ������ ����ó�� �귯���� ���� �ƴ� ��¥ ���� ���ϴ� ���� ���� ��� ��ƾ� ��¥ ��� �ɱ� ������ �����ϴ� �ð��� ������ �;���. �ٽ� �ұ� ���ε� �����ϰ�, �̵��� �Ƹ�����Ʈ�� �ϸ鼭 �ּ����� ��Ȱ�ڱݸ��� �����ϸ� ������ ���� �ٻ� �������� �ٴ� �� ȥ�� �������� �ɾ�⵵ �ߴ�. �׷� ��Ȱ �� û���ܼ�Ʈ�� ����� �ڿ�����Ȱ���� �ϰ� �Ǹ鼭 �°� �Ͽ��� �ε��� ���� ����鿡�Ե� ġ�� ���� �ϸ鼭 ���� � ���� �� �� ���� ���� ���� ���� � ������ �������� �˾ư��� �ð����� ���¾���.

 û���� ���� �߾��� ģ����� �� �ѹ� ���������� �������µ� å ������ ���� �� ������ ���� �ô븦 ��ư��� 20�� û��鿡 ���� å�̾���. �� å�� ���� ������ �� �ְ� �� �Ʊ�� ��� ����Ʈ3 �ȿ� �� ������, �дٰ� ȭ�� ���� �� ������ �ʰ� �������ӿ� ������ �� å�� ���� ��ݵ� �ǰߵ�� ���� ����� �߾��� ����� ����.

 �̷� å�� ������ û���� ��ǥ�ϴ� å�ΰ� �;� ������ �����ŷȴ�. �и� �� 88���� ���롻������ ������ 20�븦 �� �ٶ� �� �ִ� å�� �־����� ���ڴٴ� �ٶ��� �Բ�. �׶� �߰��� �� å ���̰��� �� û���� �ƴ϶� ���ΰ����̴�.

 
이것은 왜 삶이 아니란 말인가
 
 ���ڰ� ����ġ�� �л����� �츮 ��ȸ���� ���ϴ� �������б� �л����� �ƴϴ�. ������ �ƴ� ķ�۽���� �̶�� �Ϳ� ���� �����ǽ��� ������ �����鼭 �������� ��ķ ���ó�� ���̰� ���� �л����� ������� ���� ������ �׵��� �̾߱⸦ ������ ���� ���б� ���� ����� ���� ���鼭 �׵��� ��Ҹ� ������ ���������� �DZ⵵ �ϰ� �������⵵ �ߴ�. �׸��� ���� ����ȣ�� å���� �л����� ��Ÿ���Ը� �ٶ����� �ʴ´�.

���ڰ�

"�̰��� �׵鿡 ���� �̾߱��ϻ� �ƴ϶� �׵�� �Բ� ���� ��ư��� �ִ� �� �ô뿡 ���� �̾߱��̴�. ����� ���Ѵٸ� �� å�� 20���� ����Ǵ� ��ġ��� ‘about/on’�� ‘to’�� �ƴϰ� ‘with’�̴�. �׵��� �� ���� ����� �ƴ϶� �ô뿡 ���� ���� ������Ʈ�ʿ���."(p.20) ǥ���ϵ��� ����� �л����� ���� ���߸� ��ȭ�� �ϸ� ������ �������ش�. å �Ӹ����� “���� ������”�� ��ó�� ���̴�."�����ؾ� �Ѵ�". "����� ��ư��鼭 ������ �ް� ����� ������ �ڱ� ���� �ϴ� ������ �����ϱ� ���ؼ��̴�." �츮�� �� ġ�� �ǽɵ� ���� �̷��� ���Ѵ�. �׸��� �������� �ʴ� ���� ���Ѵ�. �� ���� 20�뿡�� �������....... �׷��� �츮 ��ȸ�� ������ ���л����� �׷��� ���ϴٰ� ���ϴ� ���̴�. �̵��� ������ �������̰� �������̸� ��ü������ ���ϴٰ� ���Ѵ�. �¿� �츦 ������ �ʰ� ��ΰ� '����'�� ���� �̾߱⿡ ���� ������ ���л����� ���ϰ� �ִ�.(p.12)

 ���ݱ��� �� ���� 20�뿡 ���� ��е��� ���������� ������������ ���߰� ����ڵ��� ��Ҹ����� �� Ŀ������ �ʾ� �� Ȯ������� ���ߴ� �� ����. ���������� winner�� �DZ� �����ϰ�, ��ȸ �� ����� �� ���ڸ��� ������ �������� loser�� ����� ������ ������ ��ȸ �ӿ��� ��κ��� �����̵��� ��¥ ��Ƴ��� ����, �������� �ʱ� ���� ���Ѿ��� �� �� �ۿ� ���� ���� �ӿ��� ��� �ִ�. �� ���� ���� �츮��ȸ�� �ƿ츣�� �Ŵ��� �����ٱ� �ӿ��� ������ŷȴ� �� ������μ� �� �ӿ��� �ٸ� ������ �޲� �ð������� �־����� �ʰŴϿ� ���� �ӿ��� ���ʰ� �Ǵ� ���� �ٵ� �ʹ����� �����ϱ⿡ ���� �� �� �ִ� ���� ���� ‘����� ������~ ���� �� ���ٰ�.’ �������̴�. ������ ���⼭ ���� ���� �����ְų� �� �̻� û��鿡�� �̷��� ���ٸ� ������ ������ ���ٰ� �����Ѵ�. ���� �ᱹ �� ���ٱ⸦ �Ž��� ������ �ö�� �� �־��� �͵� �������� �� �ٸ� �������� ��Ȳ�ص� �����ٰ�, �� �ٸ��� �� �� �ִ� ���� �ִٰ� �� ������ ���� ���� �£ ���� ¯���� ��� ���� �־��⿡ ���� ���� �� �־���. �׸��� �ٸ� ���� ���� �ִ� ������ ������� �����鼭 �� �濡 ���� Ȯ���� ������ �Ǿ���.

  �ȳ���Ͻʴϱ� ���ں��� �ٽ� ���� û����� ���� ���� ���� ������ ���� ���� ���� ���ں��� ���ϰ� �ߴ�. ������ �ȳ�� ���ں��� ���� û����� �Ÿ��� �����Դ� ���� ���ߴ�. ������ �̰͸��� �и��ϴ�. ���������� �����̰� ���� �������� �����ӿ� ¯�� �� ������ ������. �׸��� �� ���� �𸥴�. �󸶳� �������� �𸥴�. ���ӱ��� �帮���� �ں��� ü���� �״��� �Ѳ����� �ٲ�����ٴ� �� �Ұ����ϴ�. ������ ���� ����������, ���� �ѷ��� ��ȸ�� �Ѿ�� ������ �� �� �ִ� �͵��� ��� �����س��� �Ѵ�. �׸��� �� ���� ������ ������ �η��� ���� ���� ���� ���� �� �ִ� ��¯�� Ű���߰���.

 ���� ���� ��ȸ�� ��Ȱ 2�������� �ùδ�ü ���Ȱ���� 2������ �Ǿ���. �׸��� ���� ���� ���� �ڵ� ���ϴ� 30�밡 �Ǿ���. ���� �̸��ϸ� �׷��� �� ���� �ִ� �Ŷ�� �����θ� ��ڿ� �ָ鼭�� ���� ������ �ϴ� ���� ���� ����� ���� ���� ���� �հ����� ���� ���� ���� ���� ��鸱 ���� �ֱ� �ϴ�. å�� ���ڰ� ������ �Ұ��� ������ �� �ô뿡 ���ǿ��� ������ �� �� �ִ°��� �̾߱� �ϴ� ���� ���� �ȵ��� ���� �׷����� ������ ������ ������ ������ �ϴ� ���п� �����ϴ� ģ������ �ִ� �� ����ִ� ������ ������ ������ �� �ֱ⿡ ������ �󿬵Ǵ� �������� ���� �� �ִٰ� ���� �ִ�. �׷��ٸ� ���� ���? ���� ����� �ִ� ���� � ¯���� ���� �� ������? ������ �������� ���̴�.

 
이것은 왜 삶이 아니란 말인가
 

[å ���� ��] 120
�輱�� / �뱸����ε����ǽ�õ�ǻ�����ȸ �繫����

제목 :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저자 : 엄기호

출판사 : 푸른숲

분야 : 국내도서 > 인문 > 인문일반 > 인문/교양 일반

출판년도 : 2010년 10월 15일

쪽수 : 267쪽

전집권수 : 1권

독서기간 : 2011.7.22

평가 : ★★★★☆

<저자소개 :>

연세대 사회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마쳤고, 한동안 현장과 바깥을 '싸'돌아다녔으며, 연세대 문화학과 박사과정에 있다. 2001년부터 3년간 필리핀에 사무실을 둔 국제가톨릭학생운동 아시아·태평양사무국에서 일했다. 월러스틴의 말처럼 "지역적이며 동시에 지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그때 깨달았다. 2004년부터 '국제연대 코디네이터'라는 직업을 스스로 개발·성장시켜 왔다.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만들어낸 패배주의와 냉소주의와 싸울 때 어떻게 희망의 자리를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 우리 사회에 정직한 언어로 전달하는 데 얼마간 책임과 소명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고담준론이 되어버린 신자유주의, 세계화, 교육 같은 말들을 현장에서 성찰한 이야기로 바꾸어 '낮게 더 낮게, 쉽게 더 쉽게' 전달하려고 애쓰는 인문학자이기도하다.

책에서도 봤지만 저자의 내력을 보니 우리 젊은 세대에게 관심이 많은 것 같다. '낮게 더 낮게, 쉽게 더 쉽게'라는 말이 마음에 와 닿았다.

<인상 깊은 구절>

1. p.11 “세상이 너희를 한심하다고 이야기하더라도 우리 스스로 우리를 한심하다고 생각하지 말자. 대신 되돌려서 물어보자. 누가 너희더러 한심하다고 이야기하는지. 그리고 어떤 이유와 논리로 너희를 한심하다고 하는지. 어떤 언어로 너희를 한심하다고 말하는지를 되물어보자.”

2. p.16 도덕적 비난. 정치적인 이유에서 비롯하였든 경제적인 이유에서 비롯하였든 대학생들을 향한 지금의 비난이 도착한 종착점이 바로 도덕적 비난이다. 이들이 다른 방식으로 성장했다는 것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

3. p.18 우리 20대들을, 대학생들을 잘 모른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살아가는지 대해 제대로된 정보만 있으면 이들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제대로 된 정보'만 있으면 된다는 생각은 지배와 통제에 대한 욕심이지 이해에 대한 갈망이 아니다. 이해란 통제와는 달리 내가 그들과 무엇을, 어떻게, 함께할 수 있는지 돌아보는 작업이다.

4. p.23 학생들이 현재의 대학 교육에 환멸을 느끼고 대학다운 공부에 목말라 있다는 뜻이다. 학기 초에 학생들에게 대학에 와서 실망한 사람 손들어 보라고 하면 대부분이 손을 드는 것이 지금 대학 교육의 현실이다.

5. p.26 누군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어떤 질문을 던지고 있는지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인생에 대해 어떤 질문을 던졌는지, 그 질문은 그들과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른지를 견주어보아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인생에 대해 어떤 질문을 던졌는지, 그 질문은 그들과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른지를 견주어보아야 한다. 누군가가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그들이 내놓는 답을 가지고 왈가왈부한다면 그것은 삶에 대한 모독이다.

6. p.27 인간은 삶에 대해 새로운 질문이 많아질수록 세상을 새롭게 살아갈 용기가 더 많아지는 존재라고 믿는다. 질문과 함께, 질문과 함께, 질문에서 인간은 새로운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새롭게 시작할 용기만 있다면 인간은 새로운 사회와 세상을 만들 수 있다.

7. p.55 이들에게는 이 체제로부터 '탈주'할 바깥이 없다. 이들은 이미 바깥으로 내쳐진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착취당할 권리'조차 박탈당했다.

8. p.60 대학생들은 자유로운 시간에 책도 많이 읽어야 하지만 동시에 전공 공부도 열심히 해야 한다. 사회적 네트워크도 넓혀야 하지만 동시에 스펙을 쌓기 위해 세상과 단절되기도 해야 한다.

9. p.90 '그러면'이라는 막연한 희망의 언어가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실천의 언어였어야 한다.

10. p.93 리눅스의 법칙:사람이 움직이는 동기는 생존, 사회적 삶/인정, 오락이다. -토발즈

11. p.93 도덕이 된 민주주의가 문제다. 정치에 참여하라고 독려하는 우리의 언어는 여전히 '생존'의 차원에 머물거나 엄숙한 '사회적 인정'에 대한 요구에 머물러 있다.

12. p.98 균열의 징조가 보인다면, 그것으로 인한 붕괴가 불가피한 것이라면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라는 말처럼,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13. p.107 한국의 교육은 '말하는 법'을 가르쳐주지 않았다고 비판한다. 한국의 교육이 가르쳐준 것은 단지 '언제나 완성된 형태로 잘 말해야 한다는 것뿐'이라는 것이다.

14. p.119 자신이 누군인가를 고백해야 하는 것은 소속 변경과 편입을 시도해야 하는 학생들이 아니라 이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경계를 넘게 하는 이 사회의 작동 방식이 가진 윤리다.

15. p.120 교육의 이름으로 우리는 잔인할 수 있다.

16. p.134 한국의 가족이 위기에 빠진 이유는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서로에게 '노동'을 하지 않고 그저 쉬려고만 하기 때문이다.

17. p.137 소통은 감정노동이 노동으로 여겨지지 않을 만큼의 경제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을 가진 가족에게나 가능한 일이다. 엄마가 가족들에게 전문 매니저로 인정받고, 그런 매니지먼트를 할 수 있는 다른 경제적 자원들이 뒷받침이 될 때나 가능한 일이란 뜻이다.

18. p.153 삶은 미래를 위해 유예되어서는 안 된다. 유예를 한다고 해서 보장되지도 않는다. 그렇다면 오지 않을지도 모를 내일을 위해 오늘을 희생하거나 감수하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짓이다.

19. p.157 사랑을 믿지 않는 것이 아니다. 다만 '연애'라는, 사랑에 대한 이 시대의 시나리오를 믿지 않는다. 이 시대의 사랑이란 너무 값비싸고 소모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20. p.162 대학생들이 공부'도'하는 존재가 아니라 공부'만'하는 존재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랑은 그들의 권리 목록에서 누락되어 있다.

21. p.163 삶이 임시적이고 일시적인 것이 되었는데 어떻게 사랑이 임시적이지 않을 수 있는가. 그리고 이 임시적인 사랑, 그것은 왜 또 사랑이 아니란 말인가.

22. p.172 타인과 나 모두에 대한 인정투쟁이다. 인정투쟁이란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그 존재 가치를 인정받을 때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말이다. 우리 모두는 타인의 시선을 욕망하고 있다.

23. p.182 품평은 우리 시대의 의사소통이다.

24. p.188 아무도 돈을 대놓고 찬양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돈에 대해서 적당히 거리를 유지하고 냉소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우리 사회는 돈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대단히 불온하게 생각한다.

25. p.204 지금 통용되는 자유란 ‘계층적, 경제적 차등에 따른 제한된 선택의 자유’라고 할 수 있다.

26. p.208 현실에 완전 순응하거나 혹은 이것을 완전히 거부해버리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안고 대안을 제시하는 법을 배워라.

27. p.218 우리는 열정을 바치면 그만큼 값진 것이 돌아오리라고, 혹은 돌아와야 한다고 믿는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대가가 돌아오지 않는다면 열정을 바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28. p.220 대가가 없다는 이유로 무언가에 대한 열정을 너무도 쉽게 삽질로 만들어버리면서 우리는 오히려 세상의 가치에 얽매이고 너무나 많은 것을 버린다. 조건 없이 누구를 사랑할 시간, 이유 없이 무언가에 미친 듯이 열광해볼 기획 따위는 우리는 잃어버리게 된다. 어찌보면 삽질이야말로 훨씬 더 숭고한 유희에 가까운 열정이 아닌가?

29. p.221 우리가 해야 할 것은 뜨거운 열정이다. 자신만을 위한 열정 말이다. 누구를 위한 것도, 누구와 경쟁하여 이기는 것도, 어떠한 대가를 바란 것도 아닌 자기만족적인 열정.

30. p.247 ‘바쁜 척’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에 스펙을 위해 이리저리 분주하게 쫓아다니는 지금 대학생들의 삶이야말로 적극적 수동성의 대표적인 예이다.

31. p.256 ‘진리’가 가진 힘은 강력하다. ‘진리’는 더 이상 의심하거나 생각해 볼 필요가 없는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사유를 가로막는 가장 강력한 걸림돌이 된다.

32. p.260 인지상정, 즉 인감의 공감 능력은 우리 사회의 서열 체제 앞에서 멈춘다. 아니 인간을 인지상정이라고 이해하는 그 도덕적 마음이 비윤리적인 인간 서열 체제를 승인한다. 여기서 도덕이 반윤리로 타락한다. 인간은 인지상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도덕이 인간을 서열화하고 그중의 일부를 인간에서 짐승으로 추방하는 반윤리적인 체제를 승인하는 것이다.

33. p.262 인간의 공감능력은 완전체로 미리 주어지는 것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확장되는 힘, 능력이라는 역동적인 것이다.

34. p.266 불가능한 곳에서 가능함을 상연하는 것, 그것보다 멋진 혁명을 나는 들어본 적이 없다. 여기가 내가 선 자리이다. 한 현인의 말처럼. “여기가 너의 로두스다. 여기서 뛰어라.”

<감상평>

책 제목에서부터 마음에 들었던 책이다. 저자가 대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쓰고 토론하고 강의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책을 읽는데 쉽게 공감이 되었다. 이전에 읽은 책 ‘88만원 세대’에서 보여준 것처럼, 지금의 젊은 세대는 정치와 경제, 가족과 연애, 돈과 소비, 때로는 생명에 대해 '착취당할 권리'조차 박탈당한 모습을 잘 보여주었다. 그런데 기성시대는 젊은 세대의 현실을 이해하지 못하고 도덕적 비난을 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그런 암울한 현실을 인문학적으로, 우리의 언어와 소통하면서 이야기하고 있다. 나도 여기서 말하는 대학생들과 별반 다름없이 정치나 사회이슈에 큰 관심을 갖지 않았었다. 그래서 고려대생의 자퇴선언을 나와 다르다고 생각하고 등록금 투쟁을 하는 발버둥치는 학생들을 비관적으로 바라본 적도 있다. 어떻게 하든 현실은 변하지 않을거라는 냉소적인 입장 때문이었다. 그러나 내 냉소는 틀렸다.'그러면'이라는 막연한 희망의 언어가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실천의 언어였어야 한다. 사랑에 대한 이야기도 공감됬다. 내가 경제적 뒷받침이 되지 않는데 시나리오같은 사랑은 값비싸고 소모적인 일이라고 생각이 들기도 한다. 또 품평이 우리 시대의 의사소통라는 말은 인상적이었다. 우리는 너무 남을 의식하면서, 남에게 인정받기 위해 살아가고 있는 것 같다. 저자가 언급한 패션 이야기는 공감 못한다.(명품의 공격적인 마케팅은 수긍되나, 아무거나 입거나 소비하는 모습은 좀 아니지 않나...) 인간의 욕구인 타인의 시선에 대한 욕망은 과하지 않으면 긍정적인 면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열정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는데 '잘못된'열정에 대해서 정확히 꼽은 것 같다. 대가가 돌아오지 않는다면 열정을 바칠 필요가 없나? 많은 사람들한테서 그런 모습을 보면서 더 혼란스럽기도 했다. "그거 해서 뭐 할껀데?"라는 간단한 질문이 '나는 삽질하고 있나?'라며 수없이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나는 뜨거운 열정이 좋다. 누구를 위한 것도, 누구와 경쟁하여 이기는 것도, 어떠한 대가를 바란 것도 아닌 자기만족적인 열정이 좋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이야기 혹은 우리의 이야기를 한 걸음 뒤로 물러서서 바라볼 수 있어서 좋았다. 앞으로 나는 계속 현실에 완전 순응하거나 혹은 이것을 완전히 거부해버리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안고 대안을 제시하는 법을 배워보겠다.

다운이에게 달아준->형은 이 책이 88만원 세대처럼 경제적인 문제로만 분석하기보다 포괄적으로 이야기해서 더 좋았어. 돈 문제도 있지만 그런 것으로부터 오는 가족, 사랑 얘기도 심각하거든. 교육의 힘이 정말 엄청나다는 것을 느낀다. 형은 고등학교부터 사람들이 미친 듯이 내신점수를 받으려고 하고 수능점수를 받으려 한다는 것을 느꼈는데 요즘에는 중학교, 초등학교, 학부모들이 얼마나 정신이 나갔는지 유아 때부터 조기교육을 시키려고 환장을 하고 있는 것 같더라. 그런데 상황은 더 나아지기는 커녕 가속화가 되고 있어. 우리 때와는 다르게 이제는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꿈’이라는 단어자체를 묵살당하며 살고 있는 것 같아. 대부분의 학생이 대학교에 와서 실망했듯이 나도 적지 않게 실망했는데 다운이 말처럼 스스로 대안책을 찾아서 학습하는 학생들이 있지. 그런데 나는 그 수가 너무 적다고 생각해. 주변을 봐봐. 정말 화가나. 학점만 생각하고, 토익, 자격증만 생각해... 대학교에서 ‘천직발견’이라는 수업을 들었는데 학생들 대부분이 ‘토익 몇 점까지 달성하겠다.’, ‘자신의 전공의 자격증을 따겠다.‘ 이러고 앉아있어. 참 걱정이다. 지금 이러한 모습이, 또 그들이 부모가 되면 더 가속화되지 않을까... 그래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것이고, 기업(사회적), 사회적 기업가가 빨리 자리잡아야할 것 같다.(그런데 이 생각을 할 수 있는 것도... 휴... 정말 순응하면 살아남지 못하는 개미지옥 속 사람들, 알바를 하지 못하면 학교를 다닐 수도 없는 사람들의 입장이 되면, 솔직히 열정대학을 할 열정이 생길까? 이런 고민도 우린 행복에 겨운 사람들 같다.

경애에게 달아준->몇몇 대학생이 나눈 이야기로 진행되었지만 가능한 넓게 20대를 이해하며 쓴 책 같아. 내가 생각하기에는 상당히 많은 대학생들이 이런 생각들을 하고 있을 것 같아. 하지만 ‘현실의 벽은 넘기 힘들어.‘라며 배틀로얄, 개미지옥 같은 현실에 결국 순응하며 무의식으로 자신을 억압하고 있다고 생각이 들어. 그 무서운 현실에 순응 된 사람들이 “현실을 받아들여”, “꿈을 버려”라고 최면을 걸고 있지. 인간은 나약한 동물이니깐.. 88만원 세대에서도 경애가 말했지만 이러한 책을 읽고 합리화를 할까봐 두려웠구나. ‘나는 읽는대로 만들어진다‘에서 좋은 책은 두고두고 여러번 읽을 만하지만 나쁜 책은 뭐 어떻다고 한 것 같은데.(기억이 잘 안나네) 좋은 책을 읽는 건 중요한 것 같아. 대한민국이 미친 사람이 미친 사람이 많은 이유‘라는 씁쓸한 유머를 본 적 있어? 책들이 이렇다. 10대 꿈을 위해 공부에 미쳐라, 20대 공부에 미쳐라, 20대 재테크에 미쳐라, 내 집 마련에 미쳐라, 펀드투자에 미쳐라, 자기계발에 미쳐라, 공모전에 미쳐라, 인테크에 미쳐라, 30대 다시 공부에 미쳐라, 경매에 미쳐라, 미쳐라, 미쳐라, 미쳐라... 정말 미친 사회다. 우리는 이러한 사회에 우리를 합리화 시키지말자. 데카르트의 말처럼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우리는 생각을 포기하지말자. 우리가 다시 최면을 깨게 해줄 수 있는 사람이 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