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교육이 왜 필요한지 음악교육철학의 관점에서

초록 열기/닫기 버튼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 철학과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 철학은 20세기 중반에서 현 재에 이르기까지 세계 학교 음악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는 대표적 담론들이다. 경 험중심 음악교육 철학으로 불리는 리머의 철학은 3회에 걸친 저술의 개정을 통하여 음악에 대한 전통 미학적 관점을 발전시켰고, 리머의 미적 관점에 대한 실천주의적 대안을 제시한 엘리엇은 2회에 걸친 저술의 개정을 통해 음악교육의 사회·윤리적 관점을 더욱 정교하게 발 전시켰다. 이 두 관점은 인간의 본질, 음악의 본질, 그리고 음악교육의 본질에 대해 매우 상 충하는 것처럼 보이는 논증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충은 어느 하나의 관점이 절대 적으로 옳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과 음악, 그리고 음악교육의 다층적 속성을 상호보완적으로 설명해주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인간, 음악, 그리고 음악교육에는 리머가 주장하는 바 대로의 객관적, 보편적 본질이 존재할 뿐 아니라, 엘리엇의 주장하는 바 대로의 문화적, 맥락적, 그리고 실천적 본질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악교육자 들은 이 두 관점이 가지고 있는 음악교육 철학으로서의 장단점을 비판적이면서 동시에 통합 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Bennett Reimer's experience-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and Elliott's praxial music education philosophy are representative viewpoints that provide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school music education from the lat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Reimer's philosophy, which is called the experience-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represents traditional aesthetic perspective on the nature and values of music and music education. On the other hand, David Elliott has developed the socio-ethical perspective on music and music education through the first publication and the revision of his book ‘Music Matters’. These two perspectives seem to contain very conflicting arguments about the nature of human beings, music, and music education. However, this conflict seems to be complementary, due to multi-layered nature of human beings, music, and music education. That is, for human beings, music, and music education, not only the objective and universal qualities that Reimer claims exist, but also the cultural, contextual, and praxial qualities that Elliott claims exist at the same time. Therefore, music educators need to critically look a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se two perspectives, and to understand these two perspectives in an integrated wa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Reimer, Elliott, Experience-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praxialism

피인용 횟수

  • KCI 0회

  • 147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성격항 분석을 통한 교육적 패러다임 고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Advisor김규동 Major사범대학 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

Issue Date2017-02 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교육과정 ; 음악과 교육과정 ; 교육적 패러다임 ; 교육과정 목표 ; 교육과정 성격 ; 음악교육철학 ; 심미적 음악교육철학 ;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 ;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 ; 리머 ; 엘리엇 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 2017. 2. 김규동. Abstract본 연구는 개인과 사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교육의 방향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 및 가치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이에 개정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 내의 목표와 성격항의 교육적 패러다임을 분석하고 교육학적 관점과 현대음악교육철학을 기반으로 그것을 유형화하여, 이를 근거로 사회적 변화에 따라 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지식의 변화를 음악과에서 어떻게 반영하고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과 교육의 근본 원리와 학습 목표 설정에 근원이 되는 음악과 교육과정의목표항' 및성격항'을 분석하였다. 전자는 교육과정을 아우르는 교육학적 사조와 교과의 공교육적 의의를 담보한다. 이 분석에서는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핵심요소인교육적 보편성',교육적 시사성',교과적 고유성'을 준거틀로 삼았다. 후자에서는 교과교육의 목적 및 목표, 지도 특성이 음악교육철학을 바탕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리머(Bennett Reimer, 1932-2013)의심미적 음악교육철학' 및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 엘리엇(David J. Elliott, 1948-)의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의 핵심 개념을 분석 준거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목표항은 시기에 따른 학문 사조의 영향으로 제시 형태나 구성 내용에 있어 점진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제6차 교육과정에서 성격항의 신설, 구성 체계의 세분화, 현대음악교육철학이 적극적으로 반영되면서 형식과 내용면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성격항의 경우 음악교육철학의 학문적 흐름에 따라 심미적·실천주의·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을 차례로 수용하거나 각 철학 간의 균형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반영되는 경향을 보였다.
인식적 접근을 음악교육의 방법으로 끌어오면서 한계를 노출한 리머의 심미적 음악교육철학과 개념적인 부분을 인정하지 않고 경험 외에 얻을 수 있는 것을 간과한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은 최근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이는 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지식의 성격 변화에 따라 교과별, 분과별이 아닌 통합과 융합을 강조하는 흐름을 반영한 음악교육철학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분석 결과를 통해, 음악적 기능 향상을 위한 음악교육, 음악과 고유성을 추구하는 음악교육, 활동 및 경험적 가치 중심의 음악교육, 다원적 가치 추구의 음악교육으로 교육적 패러다임을 유형화시켜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 교과의 역할과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볼 수 있다. 첫째, 음악의 본질적 가치를 최우선으로 두어야 한다. 둘째, 공교육의 특성상 음악의 본질적 가치의 구현은 사회적 요구와 맥락을 담아내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셋째, 교과로서 음악교육은 전문인 육성이 목적이 아니므로 음악을 향유하는 방식에 대한 접근이 중요하다. 넷째, 음악만이 할 수 있는 교과적 고유성을 구현할 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음악 활동과 음악적 지식이 왜 중요하고 필요한 것인지를 드러내는 목표와 성격이 제시되고 이것이 활동 내용을 통해 드러날 수 있어야 한다.
공교육은 효율성만을 추구하는 활동이 아닌 사회·문화적 가치 및 윤리적 가치를 수반하는 활동이다. 이에 따라 단순히 실용적인 측면과 경험적 활동만을 강조하여 학문적인 부분을 경시하는 태도는 지양해야 한다. 특히 음악교육에서는 음악경험의 본질과 심미적 가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적절한 조화가 요구된다.

주요어 : 교육과정,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적 패러다임, 교육과정 목표, 교육과정 성격, 음악교육철학, 심미적 음악교육철학,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 리머, 엘리엇

학 번 : 2014-21003

LanguageKorean URIhttps://hdl.handle.net/10371/127197
Files in This Item:
  • PDF000000141851.pdf 1.06 MB
Appears in Collections:College of Education (사범대학)Program in Music Education (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Theses (Master's Degree_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

  • 음악교육이 왜 필요한지 음악교육철학의 관점에서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